그레이스 켈리는 왜 우아함의 대명사로, 마릴린 먼로는 「섹스의 심볼」이라는 이미지를 가진 스타로 자리잡게 됐는가? 이같은 물음에는 경제·사회·문화적 분석들이 가능하다. 크리스틴 글레드힐이 엮은 「스타덤: 욕망의 산업」 은 20세기 대중의 우상이며, 심지어 반신(半神)의 위치까지 오른 스타에 대한 총체적 분석서다.스타는 대중문화의 산물이다. 또한 산업의 마케팅 장치이며 문화적 의미와 이데올로기적 가치를 전달한다. 동시에 개인적 취향의 친밀감을 표현하고 욕망과 동일화를 끌어내는 사회적 기호이기도 하다.
스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이 책은 할리우드 스타 시스템을 중심으로 스타의 탄생 과정을 보여준다. 스타 시스템은 영화 홍보자, 신문잡지를 비롯한 매체의 협력 하에 가능하다. 할리우드는 시장성 있는 스타를 발굴하고, 기업은 이러한 스타의 이미지를 이용해 이윤을 창출한다.
각종 매체를 통해 처음 스타의 전기적 재료를 활용한 다음, 그것을 바탕으로 스크린에서의 캐릭터를 통해 더욱 더 스타 이미지를 강화한다. 예를 들면 그레이스 캘리의 우아한 출신 배경을 선전한 다음, 「다이얼 M을 돌려라」 등 영화에 청아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캐릭터로 등장시켜 남성의 이상적 상대로 전형화한다. 반면 마릴린 먼로의 불우한 집안 내력은 「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 등 영화에서의 배역에 의해 더욱 강조돼 그녀는 즐기는 상대로 전형화했다. 기업들은 두 배우의 상반된 시장가치를 활용, 적극적으로 이윤창출에 나선다.
할리우드가 흑인 여배우를 스타로 키우지 않는 것은 백인 남성들이 지배하는 미국 사회에서 시장 가치가 없을 뿐더러 기득권층의 이데올로기를 공고히 하는데 도움이 안되기 때문이다. 「카르멘 존스」 (54년 작)에 출연한 매혹적인 흑인 여배우 도로시 댄드리지는 영화에서 백인 남자와의 키스가 금지됐다.
유일하게 할리우드 스타 시스템의 구속을 벗어난 것처럼 보이는 흑인 여배우는 우피 골드버그. 예쁘고 매혹적인 할리우드 스타와 거리가 멀고 흑인과 하층민들에게 시장 가치가 있기 때문에 스타로서 입지가 가능했던 것이다.
스타의 영향력은? 스타는 불안한 사회상황이나 이데올로기를 종합한 것이기에 사회·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다. 성의 자유화 물결과 맞물린 마릴린 먼로는 미국민들의 성개방을 부채질한 촉매 역할을 했다. 또한 「래티 린튼」(34년 작)에서 조앤 크래포드가 입은 부풀린 소매에 빳빳하게 풀먹인 희색 시폰은 30년대 말까지 미국 패션계의 유행을 선도했다.
스타는 부단히 진정성을 획득함으로써 철저한 스타로 자리잡는다. 스크린의 스타 모습과 실제 생활과 이미지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줄 때 그 진정성은 획득된다고 이 책은 말한다.
스타 분석서
▲「스타」 애드가 모랭 지음 (문예출판사 발행)
모랭이 스타의 발생과 실체, 그 변모를 현상사회학 및 사회인류학적 관점에서 분석. 관객은 등장인물을 자신과 동일화(同一化)하여 자신을 그에게 귀속시키는 욕구가 강하다고 분석한다. 신이면서 상품인 스타의 출현과 존속은 영화 산업이나 선전에 의해서가 아니라 세상 사람들이 스타를 원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스타_이미지와 기호」 리처드 다이어 지음(한나래 발행)
스타현상에 관해 다루고 있는 다양한 비평적 이론들을 결합. 스타에 대해 영화제작자를 비롯한 문화 산업의 엘리트가 경제적 관점에서 만들어 내는 생산 현상적 측면과 관객의 요구가 더 크게 작용하는 소비현상 측면에서 조명했다. 또 스타가 어떤 방식으로 기존 사회의 현상 유지에 봉사하는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가도 분석.
배국남기자
knba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