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푸드뱅크사업 1년] 수혜 체감지수 '0'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푸드뱅크사업 1년] 수혜 체감지수 '0'

입력
1999.08.16 00:00
0 0

 - 남는 음식물나누기 '푸드뱅크사업' 1년 -먹을수 있지만 버려지는 음식물이나 남는 식품을 기증받아 결식층에 나눠주는 푸드뱅크사업이 시행 1년이 다 되도록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정부는 뒷짐을 진채 「자력갱생」하라고 발을 뺄 태세고, 푸드뱅크 단체들은 주도권다툼을 거듭하며 들어온 음식마저 썩히고 있는 형국이다.

경기 안양시의 한 푸드뱅크 사업소의 창고건물. 주로 H업체에서 기증한 초콜릿이 창고 가득히 쌓여있다. 사업소측은 『초콜릿이 들어온지 1년여 됐지만 매번 초콜릿만 나눠줄수 없어 부둥켜 안고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전국에 설치된 푸드뱅크는 150여 곳. 저장시설 미비로 가공식품만 받는 구조적인 문제에서부터 관련 단체들이 따로 놀면서 서로 반목하는 공조시스템 문제까지 푸드뱅크는 유명무실 그자체다. 운영권만 움켜쥐고 아무일도 하지않는 곳도 있다.

남은 음식과 결식자들을 연결하자는 취지로 푸드뱅크사업이 전국적으로 확대된 것은 지난해 10월. 이미 출발부터 문제점들은 노정돼 있었다.

먹거리나누기 운동을 하는 한 단체의 관계자는 『정부가 여성복지단체를 중심으로 푸드뱅크를 자의적으로 지정해 문제가 발생했다』며 『운영능력도 의지도 없으면서 정부의 금전지원 등을 바라고 푸드뱅크를 움켜쥐고 있는 복지시설이 많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이 복지부가 지정한 관(官) 푸드뱅크의 대표성을 인정하지 않아 지역별로 푸드뱅크가 난립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화여대 강철희(姜哲熙·사회복지)교수는 『한정된 잉여식품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민관푸드뱅크의 통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푸드뱅크운영을 뒷받침할 법과 제도도 마련되지 않아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 서울의 한 푸드뱅크 대표는 『밑에서는 지원이 없어 두손 놓고 있는데 위에서는 생색만 낸다』며 『정부의 태도는 「제 먹을거리는 타고 난다」는 무책임한 부모와 같다』고 불평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소 정기혜(鄭基惠)책임연구원은 『정부가 음식물기탁자를 보호하고 지원할 방안을 마련해야 푸드뱅크가 활성화할 것』이라며 『세금감면범위의 확대, 음식물 사고에 대한 기탁자면책, 음식물 검사시설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한해 음식물쓰레기가 평균 7조원어치에 달하고 제조식품 중 10%가 폐기되는 우리나라에서 푸드뱅크는 절실한 제도』라며 『정부가 시민단체들과 손을 잡고 법령제정과 지원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털어놨다.

/안준현기자 dejavu@ 문향란기자 iami@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