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정보화시대 지역의 우열을 가리는 새로운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고속인터넷을 마음껏 쓸 수 있는 「인터넷 특구」가 있는가 하면 쓰고 싶어도 못쓰는 「인터넷 슬럼가」도 생겨나고 있다. 인터넷 이용환경의 차이는 집값에도 영향을 미쳐 고속인터넷망이 설치된 이른바 사이버아파트는 주변 아파트보다 집값이 오르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차별화의 원인은 고속인터넷 서비스. 기존 전화선은 인터넷이용속도가 56Kbps(초당 56킬로바이트)를 넘기 힘들지만 전용선이 깔린 지역에서는 10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통신선이 나쁘면 아무리 성능 좋은 컴퓨터를 갖춰도 무용지물인 셈이다. 현재 전용선을 통해 고속인터넷 서비스를 하는 업체는 하나로통신, 두루넷, 한국통신이며 제일제당 계열의 드림라인이 다음달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그러나 고속인터넷서비스는 일부 특정지역에 편중돼 있다. 대표적인 곳이 서울의 서초구와 강남구, 용산구, 영등포구, 성동구, 광진구, 부산의 동래구, 대구의 북구 등이다. 이들 지역은 3개 이상의 서비스업체가 몰려있는 「인터넷특구」.
반면 서울에서도 강동구, 노원구, 은평구, 동대문구 등은 서비스업체가 아예 없어서 고속인터넷 서비스 이용이 처음부터 불가능하다. 특히 강동지역의 경우 상주인구가 80만명을 넘어서는데도 불구하고 전혀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 대표적인 「인터넷 슬럼가」로 불린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체들은 가입만 하면 전국 어디에서나 고속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것처럼 광고를 하는 바람에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기도 하다.
고속인터넷 서비스의 지역편중은 업체들이 인터넷 이용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만 몰리기 때문이다. 업체들은 또 광케이블, 기존 전화선, 케이블TV선등 서로 다른 전용선을 사용, 중복설치로 인한 낭비와 이중공사로 인한 부작용도 적지않다.
정보통신부는 고속인터넷서비스의 지역편중 문제를 인정하면서도 민간업체에 서비스지역을 강요할 수 없다는 방관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가 적극 개입, 지역실정에 맞게 업체마다 서비스시작 지역을 정해주고 점차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도록 유도해야만 인터넷에 의한 새로운 지역차별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최연진기자 wolfpac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