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호우와 태풍으로 급등한 농수축산물 가격의 안정이 시급하다. 극심한 수해로 공급이 크게 부족해 가격이 올랐다고는 하지만, 그 폭이 너무 크다. 상추 오이 호박등 채소류는 가격이 수해전에 비해 최고 3~5배나 올랐고, 상대적으로 비 피해가 적은 고랭지 배추 무도 50%가 뛰었다. 수해에 따른 재산 및 인명 피해에 이은 먹거리 가격의 급등은 서민들의 부담을 갑자기 높여 이중의 부담이 되고 있다.정부는 긴급 농수축산물 가격안정대책을 마련해 즉각 시행에 들어갔고, 지난 주말부터는 반입량이 증가해 가격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이들 품목의 작황은 기본적으로 기상조건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이번과 같은 집중호우와 태풍은 불가항력이라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거의 주기적으로 되풀이되는 것을 그냥 앉아서 당할 수는 없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들 품목의 가격이 급등하는 것은 당장 공급이 달리기 때문이다. 수해로 생산량 자체가 감소해 절대량이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이번처럼 일부 지방이 집중호우로 피해를 봤을 경우에는 유통경로가 차단돼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는 비중이 더 크다. 호우에 따른 직접적인 작물 피해보다는 도로유실등으로 인한 운송상의 문제가 가격상승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은 지역의 생산물을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소비지로 운송하느냐가 가격안정의 관건이다. 정부는 피해를 입지않은 지역의 작물을 수도권에 확대 공급하고, 농협 보유 차량을 채소류 수송에 우선 동원하기로 했지만, 긴급 사태에 대비한 비상 운송망을 재정비해야 한다.
농수축산물 가격은 심리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 수해나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당연히 가격이 뛸 것이라고 소비자들은 생각하고 있고, 이것이 실제이상으로 가격 상승을 가져온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으려면 필요한 때에 필요한 양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통구조의 개혁과 산지수매 및 직거래의 확대가 필수적이다. 정부는 이들 분야에 대한 과감한 개혁에 나서야 한다.
이번 수해로 배 사과 복숭아등 과일의 피해도 크고, 농경지 유실·침수로 쌀값도 들먹이고, 쇠고기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이같은 불안요인을 차단하지 못하면 앞으로 추석물가가 걱정이다. 정부는 보유물량 방출확대와 중간상인들의 농간방지등 적극적인 대응으로 물가상승 압력을 막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