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한국 21」(BK21) 사업에 각 대학이 낸 신청서가 상당부분 「날림」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이름을 밝히기를 거부한 한 서울 지역 명문공대의 S교수(기계 전공)는 『도대체 1개월여만에 7년동안 계속 연구할 과제의 개요를 내라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주변 동료교수들을 봐도 그럴 듯하게 페이퍼 워크로 적어내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라고 털어놓았다.
이때문에 신청서를 얼핏 들여다봐도 연구계획 제목이 「○○○ 신기술의 연구」 「○○○시스템 테크놀로지」 「○○공학의 ○○분야에의 응용」등 추상적이고 거창한 경우가 태반이다.
또 BK21 사업의 핵심인 「과학기술 분야」에 사업단으로 선정되려면 민간기업 지원금을 따냈다는 협약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때문에 상당수 대학에서는 지원 기업을 「사냥」하느라 정신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조조정 등으로 어려운 업계에서도 연구프로젝트가 실제로 도움이 되는지조차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채 학교나 교수 안면을 보고 일단 협약서에 도장만 찍어주는 경우가 많다는 소문이 학계에는 파다하다.
이처럼 「날림공사」가 된 것은 교육부가 6월4일 BK21사업 신청모집 공고를 내고 접수마감을 7월 20일로 못박았기 때문. 1,000쪽에 가까운 사업계획서 40부를 인쇄하는데 필요한 최소 6일을 제하면 거의 대부분의 대학, 교수가 불과 40일만에 7년대계를 세워야 했던 것이다.
한편 박거용(朴巨用·상명여대 영어교육과 교수) 한국대학교육연구소장은 『핵심적인 「과학기술 분야」에는 예상대로 지방사립대는 단 한 곳도 신청하지 못했다』며 『일부 일류대 집중으로 대학입시는 물론 대학원 입시가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치열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광일기자 ki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