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낙관론이 대세다. 주가상승 속도가 너무 빠르지만 실물경제의 회복이 뒤따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암초도 있다. 미국과 유럽의 금리인상이 가장 큰 변수고, 중국 위안화의 평가절하 가능성과 여전히 불투명한 일본의 경기 회복 여부도 부담이다.◆낙관론이 대세 자그디쉬 바그와티 미 콜럼비아대 교수는 홍콩의 시사주간지 파 이스턴 이코노믹 리뷰(3일자)와 가진 인터뷰에서 아시아 각국이 수출주도의 성장정책을 견지하면서 앞으로 연 7% 정도의 경제성장을 유지해 나갈 것으로 낙관했다. 그는 특히 일본과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들은 은행부문의 구조조정과 투명성 확보 등이 이뤄진다면 미국 기업들보다도 경쟁력이 있다고 지적했다.
싱가포르의 SG증권 리서치팀장인 마누 박스카란은 한 술 더 뜬다. 박스카란은 『이제 비로소 소비가 살아나고 생산이 늘기 시작했으며, 수입이 늘고 은행의 대출도 재개됐다』며 아시아의 경제회복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일부 우려를 기우라고 일축했다.
◆예상되는 암초 아시아 투자자들은 29~30일 열릴 미 FRB산하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상 여부와 관련, 어떤 결정을 내릴 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이에따라 미 경제가 진정국면으로 진입할 경우 아시아 각국의 경기회복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수출확대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1유로당 1.02달러까지 떨어진 유로화의 추가하락을 막기위해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인상을 단행하거나 시장에서 유로화를 매입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 어떤 경우든 지난해 이후 「바이(buy) 아시아」의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던 유럽 투자자들을 위축시킬 것이란 예상이다.
지난해 아시아 금융시장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었던 위안화의 평가절하 가능성은 아직도 언제든 터질 수 있는 뇌관이다. 특히 지난해 광둥국제투자신탁공사(GITIC)의 파산에서 증명됐듯 중국 금융기관의 부실정도는 매우 심각하다. 중국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로 1,920억달러(99년말 예상)의 정부부채를 짊어지고 있다. 이로인해 지난해 새로 발행된 국채의 70%가 기존 국채의 상환과 이자지급에 쓰이는 국채발행의 악순환에 이미 진입했다. 중국 정부가 이같은 문제의 근본원인을 국유기업의 과잉생산 설비 때문이라고 판단한다면 수출을 통한 생산확대를 위해 결국 위안화의 평가절하를 선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박정태기자 jt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