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여당은 6일 현행 소선거구제 골격을 유지키로 합의했다. 하지만 「야당을 포함한 정치권이 중·대선거구제를 제의해오면 이를 폭넓게 검토할 수 있다」는 부수조건을 달았다. 소선거구제를 기본축으로 하되 중·대선거구제로의 변경 가능성도 열어둔 양수겸장식 전략이다.양당은 그동안 공식적으로 소선거구제를 당론으로 채택해왔다. 기득권을 지킬 수 있는 제도를 선호하는 양당의 텃밭 출신 의원들의 입김이 많이 작용했다. 자민련 설문조사에서도 충청권의원중 80% 이상이 소선거구제를 지지했다.
하지만 두 여당내에서 상당수의 수도권 및 영남권 출신의원들은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한다. 야권에서도 30~40%가량의 의원들이 소선거구제에 난색을 표시해왔다. 때문에 중·대선거구제 도입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것은 이들의 처지도 고려한 발상이다. 여야간 협상의 틈새를 남겨놓음으로써 선거구제도를 둘러싼 야당 내부의 동요도 은근히 기대하는 속내도 담겨있는 것 같다. 주목되는 것은 소선거구제 보다는 중·대선거구제가 지역구도 타파 효과가 더 크다는 의견이 여권지도부내에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자민련 박태준(朴泰俊)총재는 소선거구제에 부정적이고, 김종필(金鍾泌)총리도 한때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소선거구제를 지지하지만 지역주의 완화방안으로 중·대선거구제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야당이 협상과정에서 중·대선거구제를 들고나올 경우 여권 4인 지도자가 회동, 이를 전격 수용할 가능성을 완전 배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선거제도의 기본 골격인 소선거구제는 현행대로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C) COPYRIGHT 1999 THE
HANKOOKILBO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