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의 「젊은 층 수혈론」이 실체가 정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에서 벌써부터 사람이 몰리는 등 부작용을 낳고 있어 치밀하고도 정교한 추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주로「수혈=여당 공천」으로 인식된 데서 비롯된 문제점들이 일찍부터 노출되고 있다.우선 함량미달의 정치지망생들이 수혈론 이후 정치권의 시선을 받고 있는 각종 개혁관련 모임 등을 공천창구로 이용해 보려는 구태가 재연되고 있다.
개혁지원세력을 자임하며 출범을 준비중이거나 활동에 들어간 단체들의 구성원들이 이미 대부분 정치권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반정치인들」인 점도 젊은 층 수혈론의 취지와는 배치된다는 지적이다. 『이들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제시한 「신사고」「신지식인」개념과 부합되는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치활동을 할 수 없는 일부 공무원들이 「젊은 층」에 끼여보기위해 사실상의 정치 단체에 가입하려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최근 발족된 DJ개혁지원 단체의 관계자는 『청와대의 몇몇 행정관들이 가입을 희망했지만 거절했다』면서 『공무원 신분으로 정치활동을 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순수 시민단체(NGO)들이 「정치인 배출창구」정도로 인식되면서 정치바람에 휩싸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정치권이 시민운동단체에서 사람을 뽑아가는 식의 수혈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정치권 스스로 사람을 키우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젊은 인재」임을 자처하는 각종 그룹이 모두 여권 주변에만 몰리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여야간 인재 수급의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기때문이다.
이밖에 정치권 주변에서 거론되는 일부 수혈 대상 인사들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증이 전제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일부 단체를 겨냥해 『리더의 정치적 이해에 따라 급조된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대해 청와대와 국민회의 관계자들은 『아직은 기초자료 수집 단계에 불과한데 부정적인 측면부터 먼저 부각돼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청와대에선 정무1·2비서관실이, 국민회의에선 정균환(鄭均桓)사무총장이 주로 젊은 층 수혈을 위한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그림은 그려지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청와대 정무수석실이 지난해 마련한 450여명의 제2건국위 추진위원 명단 정도가 성과물로 평가받고 있다.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C) COPYRIGHT 1999 THE
HANKOOKILBO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