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와 자민련간 내각제 논의가 어떤 결론을 내든간에 양당은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선 「연합공천」을 해야 한다는 또 다른 거대한 장벽에 직면하게 된다. 양당이 고난도 정치방정식이 될 수밖에 없는 연합공천을 피해 갈 수 있는 길은 공동정권의 분열 및 결별이라는 최악의 사태를 맞았을 때 뿐이다. 양당이 극적으로 합당에 합의하더라도 연합공천 문제는 지분협상의 형태로 남아 골치를 썩일 것이 분명한 것이다.연합공천의 기본적인 구도는 상대적으로 당세가 약한 자민련이 국민회의측에 요구하는 형태다. 특히 수도권에서 더욱 그렇다. 각각의 텃밭인 호남·충청권에서의 교차 연합공천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기득권 인정쪽으로 흐를 개연성이 높다. 그러나 각종 선거를 통해 연합공천의 위력이 확인된 수도권에서의 신경전은 사활적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국민회의의 당론인 소선거구제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지역:비례= 1:1)로 갈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해 진다. 지역구의 현저한 감소로 현역 의원들이 대거 탈락한 상태에서 연합공천으로 몫을 나누다 보면 협상결과에 따라서는 양당 모두로부터 엄청난 반발에 부딪치게 될 소지가 다분하다. 자민련이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 조건부 동의하면서도 지역구과 비례대표의 비율을 3:1로 주장하는 것은 여_여 갈등을 줄이면서 연합공천 몫을 보다 많이 확보하겠다는 의도다.
1개 지역구에서 2명 이상을 뽑는 중·대선거구제가 현실화하면 연합공천 문제가 다소 숨통이 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연합공천이 각 지역구에서 형식적 「나눠먹기」로 흐를 경우 한나라당측에 어부지리를 허용해 총선에서 과반수 의석 확보에 실패, 패배를 자초하는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
/고태성기자 tsgo@hk.co.kr
(C) COPYRIGHT 1999 THE
HANKOOKILBO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