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대통령은 우선 전당대회에서 총재이외의 당 지도부에 대한 경선은 있을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김대통령이 총재로서 당의 중심이 되는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면서 대표 등 당 지도부를 총재인 자신이 지명, 또는 추천한 뒤 전당대회에서 인준하는 절차를 밟을 것임을 밝힌 것이다. 이로써 당내 비주류 간판인 김상현(金相賢)고문이 제기했던 경선주장은 일축됐다. 김대통령은 이같은 결정의 배경에 대해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당력을 모아야 하기때문』이라고 밝혔다. 경선이 당의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깔고 하는 말이다.임시방편에 해당하는 현행 총재권한대행체제에서 대표체제로의 전환에 대해서도 방향이 선 것 같다. 이는 명시적인 언급은 없었으나 집권당에 걸맞는 대표의 위상확보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각론에 있어서는 다소 엇갈리는 대목이 있다. 공동대표냐, 단일대표냐도 아직은 공식 정리가 되지않았지만 대세는 단일대표다. 이 경우 조대행의 현상유지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영남권의 이수성(李壽成)민주평통수석부의장, 이만섭(李萬燮)고문, 신현확(申鉉碻)전총리 등이 유력한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다. 충청출신인 당내 김영배(金令培)부총재도 대안군에 포함될 수 있다.
전당대회 시기문제에 대해서도 김대통령은 지침을 내렸다. 정치개혁 추이에 따라 5월로 예정돼 있는 전당대회 시기가 7~8월로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향후 수개월내에 발생할 수 있는 정치적 상황변화, 즉 재·보선결과, 내각제논의, 5공인사의 정치세력화, 야당의 진로 등을 봐가며 정치적 유연성을 확보하겠다는 뜻이 읽혀지는 대목이다.
/고태성기자 tsgo@hankookilbo.co.kr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