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은 '3대 빅딜의 날'
1999/02/19(금) 17:42
20일은 세계적으로 「빅딜의 날」이다. 국제사회는 이날 파리와 본, 나호르에서 벌어지는 세계적인 협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유고연방과 코소보주 알바니아계는 코소보 평화를 담보로, 서방선진 7개국은 새로운 세계 금융체제를 대상으로, 인도와 파키스탄은 반세기 분쟁의 종식을 위해 담판을 벌인다. 과연 「반목과 화해」의 갈림길에서 어느 길을 택할까.
◆코소보 평화협상 시한마감
「발칸의 화약고」 유고에 또다시 전운이 감돌고 있다.
유고 연방과 코소보주 알바니아계가 마주 앉은 코소보 평화협상의 타결시한이 20일 정오(현지 시간)로 임박했지만, 협상은 여전히 원점을 맴돌고 있어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는 세르비아에 대한 공습을 거듭 다짐했다.
미국은 협상결렬을 대비, 스텔스 전폭기 12대 등 항공기 51대를 유럽에 추가 파견했고, 서방국가들은 유고연방내 자국민과 대사관 직원의 철수령을 내렸다.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은 18일 『공습이 단행되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유고 대통령은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것을 잃게 될 것』이라고 공개 으름장을 놓았다.
협상의 걸림돌은 NATO 평화유지군의 코소보주 진주문제.
미국과 러시아, 유럽연합(EU) 중재단은 이를 수용하라는 최후통첩을 유고연방측에 보냈으나, 밀로셰비치 대통령은 불가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협상결렬이 곧바로 대 세르비아 공습을 불러올 지는 좀더 두고봐야 할 것 같다.
러시아가 『세르비아를 건드리면 가만 있지 않겠다』며 무력사용에 반대하고 프랑스도 『군사행동에 앞서 상황을 평가해야 한다』며 어정쩡한 자세를 보이고 있어 중재단의 내부 의견 조율에 시간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유성식기자 ssyoo@hankookilbo.co.kr
◆인도-파키스탄 정상회담
인도와 파키스탄 접경 비무장지대의 너비는 2.5m에 불과하지만 두 나라가 반세기 동안 빚어온 반목과 갈등의 골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깊다. 이 간격을 좁히기 위한 첫 걸음으로 아탈 비하리 바지파이 인도총리가 20일 파키스탄을 방문, 나와즈 샤리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
가깝고도 먼 이웃 땅을 밟는 바지파이 총리의 발걸음에는 「역사적」이란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인도총리로는 10년만에 첫 파키스탄 방문이고 그것도 파키스탄 국경을 넘는 인도측 버스의 첫 승객이 된다.
이 버스는 일주일에 네차례씩 인도의 델리와 파키스탄 나호르를 연결하는 국경횡단 버스로 양국은 이날부터 운행키로 합의했다. 양국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는 해묵은 카슈미르 영유권 분쟁과 핵무기 개발 문제.
카슈미르 지역은 소유권 문제를 놓고 양국이 세 차례나 전쟁을 벌일 만큼 「뜨거운 감자」다. 더욱이 지난해 5월 이들 국가는 경쟁적으로 핵실험을 강행, 서남아시아를 핵공포로 몰아넣었다.
이번 회담은 양국간 핵전쟁을 우려, 화해를 위해 국제사회가 노력한 결과다. 그러나 수십년 동안 쌓인 문제를 이틀만에 풀 수는 없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다만 국제사회는 『상징적인 만남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성과를 얻어야 할 것』이라는 양국 관리들의 발언에 기대의 끈을 놓지않고 있다. /김지영기자 kimjy@hankookilbo.co.kr
◆G7재무.중앙은행총재회의
서방선진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0일 독일 본에서 개최되지만 과연 요동치는 세계경제 진로에 방향타를 잡을 만큼 합의점이 도출될 지는 미지수다.
회의에서는 그야말로 세계금융위기 재발방지를 위한 현안들이 각국의 이해관계와 얽혀 총체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달러, 유로, 엔의 환율 급변동을 저지하기 위해 등락 범위를 설정하는 목표환율대 채택 등 환율안정화 방안이 가장 민감한 의제다. 독일은 목표환율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시장기능에 맡기자』는 자세다.
전성기를 구가하는 미국경제에 인위적 영향을 주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프랑스와 일본은 원칙적으로 목표환율대 설정을 지지하지만 통화당국간 공조 강화를 내세우는 등 다소 중간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스 티트마이어 독일 분데스방크 총재가 주창한 세계 금융체제 감독기구 설치안에는 대체로 이견이 없어 보이지만 규모와 각국 금융기관의 참여 범위에 대해서는 논란이 예상된다.
또 금융구조가 취약한 일본은 헤지펀드 규제책과 국제통화기금(IMF) 개혁에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작심하고 있으나 미국은 내수진작을 통한 경기 활성화를 주장하고 있다. 제3세계 부채국의 부채탕감 방안도 위기방지책에서 빠지지 않는 대목이다. /김병찬기자 bckim@hankookilbo.co.kr
>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