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연구] 4개 민간연구소 첫 학술조명
1999/02/09(화) 17:39
역사문제연구소와 역사학연구소, 제주 4·3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등 4개 민간연구소는 최근 단행본 「제주 4·3 연구」(역사비평사)를 펴냈다. 반세기 동안 비민주적 통제체제 속에서 아직도 그 진상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4·3 사건을 처음으로 학술적으로 조명한 의미있는 책이다.
「공산폭동」으로 매도되며 그동안 언급조차도 금기시됐던 4·3 사건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햇빛을 보기 시작했다. 4·3 사건 진상규명을 공약으로 내세웠던 새정부의 출범이 힘이 됐다.
지난해 4월에는 「4·3 학술심포지움」이 성대하게 열리기도 했다. 「공산무장폭력」이 부도덕한 정권에 의한 무차별한 양민학살로, 민중의 수난으로, 또한 민족의 비극으로 새롭게 자리매김되는 계기가 됐다. 이 책은 당시 심포지움에서 발표됐던 논문들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강창일 제주 4·3 연구소 소장은 『48년 4·3이 발발한 이후 50년만에, 그야말로 우여곡절끝에 만든 책이어서 감개가 무량하다』고 말하면서도 표정은 그리 밝지 못했다.
지난해 새정부가 들어선 후 금방이라도 실현될 것 같았던 국회차원의 진상규명이 유야무야 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도 권위주의적 체제의 유산이 강하게 남아있다』는 그는『올해는 본격적으로 시민 운동을 전개해 국회 특별법 제정을 관철시키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4·3은 단순한 좌우익의 대립이 아니라 동서냉전과 남북분단의 과정에서 빚어진 민족적 인류사적 비극』이라고 강조했다.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우리의 민주주의는 완성될 수 없다』고도 주장했다.
『6월엔 4·3연구소가 창립 10주년을 맞습니다. 그때 제주에서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제노사이드(민족말살)의 진상을 규명하는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입니다. 4·3 사건의 진상규명은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그는 힘주어 말했다. /김철훈기자
>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