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노숙자들이 없어졌네』 『서울시에서 조치를 했다는데 두고 봐야지』5일 아침 서울역 지하도를 거쳐 출근하던 시민들의 대화다. 시민들은 「IMF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노숙자들이 보이지 않자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노숙자들이 밤새 마시고 남긴 빈 소주병, 추위를 쫓기위해 사용하던 너저분한 이불 옷가지등도 눈에 띠지 않았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1시까지 서울역 지하도 등에서 실시한 노숙자 「소개작전」에서 702명의 노숙자가 「자유의 집」에 입소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서울역 613명, 영등포역 31명, 종로지하도 8명, 자진입소 50명 등 당초 예상보다 2배나 많은 노숙자들이 자유의 집을 선택했다. 이중에는 서울역 주변 쪽방과 만화방에서 「유료숙박」을 해온 350여명도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400명 수용규모로 31일 완공된 영등포구 문래동 자유의 집에는 원래 1실 12명 기준인 방에 16명이 입실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다.
시 관계자는 『노숙자 대부분이 스스로 자유의 집에 입소했다』면서 『이제 노숙자문제는 90% 이상 해결된 셈』이라고 조심스럽게 진단했다.
그러나 시의 희망과는 달리 노숙자 근절은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노숙자다시서기 지원센터 관계자는 『노숙이 체질화한 사람들은 서울역에서 쫓겨나도 시내를 전전하게 마련』이라며 『노숙을 한다고 무조건 법으로 다스리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역에서 노숙해 온 김모(47)씨는 『자유에 집에서 음주 흡연을 허용해도 절대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버티고 있다.
한편 경찰은 5일부터 혐오감을 주는 구걸행위나 교통방해, 고성방가 등에 대해 경범죄 등을 적용, 단속하고 있다. 그러나 시 일각에서 조차 『자유의 집에 대한 호기심으로 많은 노숙자들이 입소했지만 시간이 지나면 퇴소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종수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