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공서 非理고발전화 먹통이거나 번호달라정부부서에서 운용중인 민원·비리신고전화의 상당수가 불통이거나 틀린번호여서 재정비가 시급하다. 민원인들이 하소연할 곳을 찾아 건 신고전화가 가정집이나 기업체, 심지어 다른 관공서로 연결되는 바람에 114로 재문의해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사업상 관세문제로 세관출입이 잦은 무역업자 박모(45)씨는 최근 『전산처리로 시간을 절약하는 EDI환급제도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반가운 마음에 「세관 신문고」번호를 눌렀다. 그러나 막상 전화를 받은 곳은 유명참치회사의 사무실. 여직원은 『하루에도 10여통 가까이 걸려오는 신문고전화 때문에 영업을 제대로 못할 지경』이라며 『114에 문의하라』고 신경질적으로 전화를 끊었다. 다시 114를 찾은 박씨는 『그 번호밖에는 없다』는 안내원의 말에 기가 막혀 수화기를 내려놓았다. 관세청 담당자는 『대전으로 청사를 옮기면서 바뀐 번호가 들어간 포스터를 제작, 무역관련업체와 관세사등에게 배포했으나 이런 일이 생겼다』고 해명했다.
그나마 박씨의 경우는 전화번호가 바뀌었다는 사실이라도 알 수 있는 경우. 「밀수 및 부정·불공정무역 신고전화」와 「문화재관리국 대표전화」는 아예 결번이라는 안내만 나온다.
한국통신측은 이에 대해 『전화 이전시에는 가입자의 동의하에 변경번호를 자동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이 있다』고 밝히고 『하지만 대부분의 민원전화가 번호변경후 자동안내를 신청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경찰청이 경찰부조리 척결을 위해 올해 중순 전국 경찰서별로 설치한 「경찰비리신고 전용전화」는 「경찰서 대표전화 국번1118」. 그러나 기존 이용자가 쓰고 있는 번호가 대부분이라 신고자들은 소방서, 신문사, 수산물회사등의 직원 목소리를 듣기 마련이다. 10월에 있었던 국감에서 이 사실이 지적되자 부랴부랴 전화번호를 확보하느라 각 경찰서별로 비상이 걸렸다. 서울 중부경찰서도 한 인쇄소가 10년 넘게 쓰고 있는 번호를 두달간의 설득 끝에 지난 9일 받을 수 있었다.
또 이달 1일부터 114를 통해 번호가 안내되고 있는 대검찰청의 「공직자 부정부패사범 신고전화」는 이동전화로는 걸리지 않는다. 한국통신과 이동통신회사간에 사용료 문제가 합의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지만 다른 민원 전화가 이동전화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개선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게 시민단체의 지적이다.
YMCA 시민중계실의 길병수(吉秉洙) 간사는 『엉터리 신고전화는 민원인들의 접근을 처음부터 차단한다는 측면에서 자칫 「행정 부작위」로까지 오해될 수 있다』며 『적극적인 개선과 홍보를 통해 국민의 작은 권리를 찾아주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손석민 기자>손석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