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정년단축과 고령화 사회(社說)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정년단축과 고령화 사회(社說)

입력
1998.11.10 00:00
0 0

국민의 평균수명이 계속 늘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데, 안타깝게도 IMF 경제난으로 조기퇴직과 정년단축의 역풍이 거세다. 98년도 인구통계에 따르면 우리의 평균수명은 남자 68.8세, 여자 76.0세로 선진국 수준(70.6, 78.4세)에 근접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들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임금과 인사적체, 생산성 하락 등의 이유로 퇴직대상의 우선순위가 되고 있다. 젊은이들도 일자리를 찾지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또한 고령자들을 압박하고 있다.그러나 실직의 고통은 젊은이나 고령자나 다를 것이 없다. 정부는 정년단축 등으로 직장을 잃은 고령자들이 보람있고 생산적인 활동을 다시 찾을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야 한다. 2010년대로 예상되는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그러한 작업이 시급하다. 지금 30대 후반과 40대 초반인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자가 되는 2010년대에는 그들이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게 된다.

정부는 최근 2000년까지 일자리 10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5개년 중기재정계획을 발표했다. 그러한 구상 속에는 고령자에 대한 배려가 반드시 포함돼 있어야 한다. 현재 55∼65세 정도의 고령자들은 과거 전통적 가족제도 속에서 당당하던 가장의 위상은 물론, 노령연금제도의 혜택도 누리지 못하고 있다. 반면 자녀의 교육, 결혼 등에 대해서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면서 오래 근로현장에 남아있기를 갈망하고 있다.

정부는 고령자의 복지제도 향상과 함께 임금을 낮춰서라도 그들이 재고용되도록 권장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을 계속 펴나가야 한다. 고령자 적합직종으로는 이미 검표원 식물재배원 카운슬러 등 40여종이 선정돼 있으나,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관광산업 등 그들의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서비스 분야로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노동연구원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직업알선기관을 설치하여 고령자 구인망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농림어업 같은 1차 산업에서는 아직도 많은 수의 고령자들이 안정적으로 일하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개인으로서도 과거의 직종과 임금에 연연하지 않는 용기와 각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수명이 길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국가뿐 아니라 개인차원에서도 설계가 필요하다. 가령 50대 중반이나 60대초반에 직장에서 물러나야 한다면 그 후에는 어떤 일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 미리 준비해야 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우리의 고비용 결혼식 문화를 개선하고, 장학혜택과 교육자금 융자제도 등을 강화해서 고령자 대부분이 부모로서 짊어진 무거운 짐을 덜어줄 수 있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