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방문하는 사이 불가피한 공방하면 정국은 더욱 꼬인다” 막판쟁점 조율 박차/“공정수사 지켜볼것” 李 총재 입장표명에 청와대서 ‘OK’ 신호여야가 7일 총재회담이라는 「옥동자」를 낳기까지 겪은 산고와 우여곡절은 한편의 드라마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야의 막후채널이 총동원된 협상과정은 수차례 잠정합의와 번복을 거듭했으며 한때 감정싸움으로 결렬위기를 맞기도 했다.
성사가 첫 감지된 것은 이날 오전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가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총풍과 관련해 현재 검찰수사가 진행중이지만 제대로 공정하게 이뤄지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기존의 완강한 태도에서 물러서면서부터. 총재회담의 암초를 걷어내는 「화룡점정(畵龍點睛)」 조치였던 셈이다. 그의 입장표명은 즉각 국민회의측에 전해져 『미흡하지만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급기야 청와대쪽에서 「오케이」 신호가 떨어졌다.
국민회의 한화갑(韓和甲)·한나라당 박희태(朴熺太) 총무간에 진행되던 총재회담 논의는 국민회의 정균환(鄭均桓)·한나라당 신경식(辛卿植) 총장라인이 가세하면서 급피치를 올렸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와관련, 『한총무가 지난달 20일께 신총장으로부터 총재회담을 논의하자는 연락을 받았으나 박총무 입장이 난처해질 것을 고려, 정총장과의 연결을 주선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배후에서 총장라인의 조정역을 맡은 주인공은 국민회의 조세형(趙世衡) 총재대행. 그는 협상결과를 재차 확인하기 위해 신상우(辛相佑) 국회부의장의 도움을 받았다. 신부의장은 이총재에게 여권의 생각을 여과없이 전달하며, 정국해빙의 필요성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쨌든 총장라인은 물밑접촉을 통해 3일 총재회담 일보직전까지 합의를 이끌어 냈으나, 총풍사건을 둘러싼 양측의 이견으로 결렬위기를 맞았다. 김대통령이 전국검사장 모임에서 『야당이 정치적 도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철저한 수사를 지시한데 대해, 이총재가 『총풍은 고문조작 사건』이라며 역공했기 때문. 그래서 총재회담은 당분간 물건너 가는 듯했다.
하지만 여야 모두 총재회담을 마냥 미룰 수 없는 나름의 속사정을 갖고 있었다. 여당은 내년도 예산안 심의와 경제청문회 개최등에 야당의 협조가 절실한 실정이고, 야당으로선 세풍 총풍과 정치인 사정문제등을 어떻게든 조속히 해결해야 할 처지였다.
급랭하던 분위기는 6일 총장·총무라인이 재가동돼, 서로의 오해를 풀어나가면서 활기를 되찾았다. 먼저 정총장이 이날 밤 시내 모처에서 한나라당의 신총장 및 변정일(邊精一) 총재비서실장과 만나 7일 새벽까지 막판쟁점을 조율했다. 이 자리에서는 『김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사이, 양당이 또다시 불가피한 공방을 하다보면 정국이 더욱 꼬인다』며 조기개최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고 한다. 양당 총무들도 지원사격을 했다. 양측은 7일 오전까지 총재회담 방식 등을 놓고 막바지 조율을 거쳤다. 여권이 오전 10시나 오후 3시로 하자는 제의에 대해, 한나라당측이 『이왕 만나는김에 모양새 좋게 하자』고 요구, 오찬회동으로 낙착된 것.
회담성사에는 박준규(朴浚圭) 국회의장의 역할도 있었다. 박의장은 5일 김대통령과의 면담자리에서 이총재의 입장을 전달했고, 면담후에는 김대통령의 의중을 이총재측에게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한나라당 김윤환(金潤煥) 전 부총재도 본인의 부인에도 불구, 총재회담 성사를 위해 막후에서 노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한나라당은 6∼7일 이틀간 정치현안에 대한 성명·논평을 최대한 자제했으며, 6일 대검찰청과 안기부 국감에서도 공세의 톤을 낮추는 등 총재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해 상당한 공을 들였다.<김병찬·김성호 기자>김병찬·김성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