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방일결과 설명회에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가 참석한 것을 계기로 여야 관계의 정상화와 정치복원에 대한 기대가 싹트고 있다. 김대통령과 이총재의 대면은 이총재의 총재직 선출이후 처음이며, 특히 야당의 등원 결정으로 국회가 정상화하는 시점에서 이루어 져 눈길을 끈다. 비록 이 자리에서 본격적인 정치대화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해도 김대통령의 방일성과를 두고 두 사람 사이에 진지하고 긍정적인 평가와 의견교환이 오갔다고 하니 대화정치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앞으로도 초당적인 국정협의와 건전한 토론의 방식이 여야간의 주된 정치방식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유감스럽게도 지난 8개월간 여야 관계가 파행상태를 벗어나지 않은 때는 한번도 없었다. 힘과 힘이 부딪쳐 엎치락 뒤치락하는 싸움판만을 키워온 게 정치권이 해온 일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뒤늦게 여야가 다시 머리를 맞대기로 했지만 연말까지는 시간이 별로 없다.
이제부터라도 정국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국회의 제기능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여야의 마음가짐과 상황인식이 크게 달라져야만 한다. 이총재가 청와대 설명회에 정당대표로 초청받고 참석함으로써 이총재를 정치상대로 인정치 않겠다는 식의 상대부정의 위험한 싸움은 한자락 접혔다. 또 야당 총재가 장외정치의 흥분을 가라앉히고 대화테이블에 앉아 있는 모습은 국민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여야화해의 가능성을 비쳐준다. 여야관계의 복원은 포용할 줄 아는 여권, 책임감을 가진 야당일 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정치권의 갈등이 아직도 팽팽하지만 여야가 이성과 합리의 잣대를 되찾기만 한다면 문제를 해소하지 못할 것도 없다. 현재 여야가 첨예하게 맞선 몇가지 쟁점들은 사법절차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들이고, 누차 지적한대로 사실규명이 우선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이라는 점에서 이를 사법의 범주로 간주한다는 원칙적 합의로 정쟁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국회에서야 여야의 싸움이 없을 수가 없겠지만 싸우더라도 보다 실증적이고 논리적인 방법과 수단을 동원한 이성적인 싸움을 해 달라는 것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서로 대립하는 정치쟁점과 경제등의 국정현안을 냉정히 분리해 다뤄야 한다는 점이다. 남은 정기국회 회기중 여야 정치권이 국민들에게 해야 할 최소한의 도리이자 의무가 바로 이 점이라고 강조하고 싶다. 국회야말로 여야의 공존지대이고 정치의 생산성이 발휘될 수 있는 장소이다. 국민신뢰 회복의 기회도 국회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