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미국대통령의 11월 방한에 대해 정부는 한미간의 동반자적 관계를 재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환영하고 있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6월 방미 당시 한미양국은 「포용정책」이라는 큰 틀의 대북정책기조에 이해를 같이하긴 했으나 영변 인근의 핵의혹시설 문제와 북한의 인공위성발사등 새로운 이슈가 터져나오면서 정부로서도 대북정책에 관한한 한미간 재조율의 필요성을 절감하던 터였기 때문이다.물론 클린턴의 이번 방한이 우리측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정부당국자에 따르면 클린턴 대통령은 11월15일부터 19일까지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아태경제협력체(APEC)정상회담 참석후 인도와 파키스탄을 방문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핵실험 재개방지문제를 놓고 막판에 이 두나라와의 협상이 결렬되면서 일본과 한국을 대신 방문하는 쪽으로 일정이 변경된 것으로 알려졌다.
클린턴 대통령은 이미 93년 7월과 96년 4월 두차례 방한한 적이 있고, 지난 7월 워싱턴에서 한미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는 만큼 이번 세번째 방한은 클린턴행정부의 필요에 의해 이루어진 측면이 크다는게 정부의 분석이다.
정부당국자는 『최근 미 의회가 북한의 핵동결파기 의혹을 이유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경수로분담금 지원을 거부하는 등 클린턴행정부의 대북포용정책이 위기에 몰려있다』며 『이같은 상황에서 클린턴 대통령이 「현장」인 한국을 방문함으로써 대북포용정책의 효용성과 중요성을 의회에 강조하고자 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한 북한에 대해서도 한미동맹관계를 거듭 과시함으로써 김정일(金正日) 정권에 대해 경고메시지를 보내는 의미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윤승용 기자>윤승용>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