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유물 밀반입 3년간 수천만弗 써/北은 외화난 타개위해 우리는 ‘환수’차원 묵인해/日과 경쟁에 北 도굴 부추겨/통일후 민족사복원 큰 지장불법·탈법문화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1일 발표된 검찰의 북한문화재 밀매단 적발사건은 북한문화재의 밀반입·유통실태 와 불법·탈법문화재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불법·탈법문화재는 고미술품 시장질서를 교란하고 가짜 문화재의 양산을 조장하고 있다. 특히 북한의 문화재도굴을 부추겨 통일후 민족사의 복원연구에도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북한 미술품을 들여오는 일이 어떻게 「밀반입」입니까. 우리 대신 일본이 가져가도록 놓아 두는 것이 법을 지키는 일입니까』, 『나야 북한 것을 다루지는 않았지만 연루된 사람을 다 잡아들이자면 굴비 엮듯 줄줄이 걸려들겁니다』
김종춘(金種春) 고미술협회장 등이 거액의 외화를 밀반출, 북한문화재를 밀수입·유통시킨 혐의로 구속되자 인사동 고미술업계는 「해외문화재 환수」 차원에서 밀반입을 묵인했던 정부가 갑자기 강경노선으로 선회한 것에 대해 반발과 함께 불안감을 보이고 있다. 이번에 구속된 이들 외에도 내로라하는 고미술상들이 참고인자격으로 조사를 받고 국내 굴지의 미술관과 관련이 깊은 모화랑 대표가 출국금지당했다는 소문까지 돌아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인사동의 웬만한 고미술상들은 「중국물건」을 한 번쯤 매매했을 정도로 국내에 밀반입된 북한과 중국의 고미술품 양은 엄청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밀반입문화재의 90% 이상은 도자기류. 북한의 외화난이 심화한 95년 이후 개성과 그 주변 지방에서 출토된 청자는 북한정부 묵인 아래 중국과 한국으로 꾸준히 유출됐다. 향로, 오리형 주전자, 매병, 마상배(馬上杯)등은 최상품 청자로 적게는 1억, 많게는 10억원대를 호가한다. 북한문화재의 유통경로는 대개 중국거간꾼, 중국에 상주하고 있는 한국도매상(일명 나카마), 국내 고미술상의 손을 거쳐 국내에 들어온다. 출처를 묻지 않는 고미술업계의 불문율에 비추어 사설 미술관으로도 상당히 흘러들어 갔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검찰은 이번에 구속된 밀매단이 지난 1년여간 국내에 들여본 북한문화재의 규모를 150여점, 100억원 수준으로 보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최근 3년간 중국에 쏟아부은 돈은 최소한 2,000만∼3,000만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일부 콜렉터들은 고미술상과 동행, 단둥(丹東)이나 옌볜(延邊)에 가서 물건을 점찍고 돌아오기도 한다. 좋은 물건이 나오면 이를 선점하려는 국내 업자와 일본콜렉터 간에 경쟁이 빚어져 고미술품값은 3년새 수배나 폭등했다.
중국거간꾼에 당한 한국인도 있다. 거간꾼이 물건을 판뒤 공안(경찰)에 밀고, 돈도 물건도 빼앗긴채 몸만 빠져나온 한국인도 적지 않다. 또 급한 마음에 중국인 전주(錢主)들에게 수십만∼수백만 달러씩 빚을 내 물건을 구했으나 IMF체제 이후 판로가 마땅치 않아 빚을 갚지 못한 한국인들도 있다. 아마추어 애호가를 겨냥, 한국에서 가짜를 만들어 중국 현지에서 파는 수법도 흔하다.
이렇게 밀반입된 미술품은 은밀히 거래되면서 고미술품 유통질서를 어지럽히는 것은 물론 가짜문화재 양산과 북한에서의 도굴을 부추기는등 통일 후 문화재연구에도 부작용을 낳고 있다. 국내 경기침체에 따라 수요처를 찾지 못한 밀반입문화재의 재반출 가능성도 높다. 문화재전문가들은 문화재급 유물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북한문화재 반입에 대한 법규정 정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박은주 기자>박은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