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는 일본과 아시아 여러나라에 관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를 수집 보관하는 「아시아 역사자료센터」를 2003년에 개설키로 했다. 이 역사자료센터는 94년 8월 무라야마(村山) 당시 총리가 전후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제안했던 것이다. 그동안 이를 정부내 어느 부처 소속으로 하느냐는 문제로 사업이 진척되지 않았는데, 이번에 총리부소관으로 의견을 모음에 따라 햇빛을 보게 됐다고 한다.■그러나 사업이 늦어진 진짜 이유는 역사자료센터에 수집 보관하는 자료에 따라 지난 전쟁 등에 대한 「역사인식」등이 얽혀 자칫 정치문제나 이웃나라와의 외교문제로 비화될 수 있다는 우려때문에 외무성과 문부성이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무라야마전총리가 설립을 제안했을 때부터 제기됐던 문제로 일본과 주변 여러나라와의 역사인식의 차이를 생각하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문제다.
■이러한 걱정은 광복절인 지난 15일에 나온 『전화로 쓰러진 사람들에 대해 추도의 뜻을 표하며 세계평화와 일본의 발전을 기원한다』는 아키히토(明人) 일왕의 말이나 『전쟁이 일본은 물론 아시아 이웃나라에도 많은 고통과 슬픔을 안겨줬다』는 오부치(小淵) 총리의 발언을 살피면 절대로 기우가 아니다. 일왕의 말 속엔 전쟁에 대한 책임과 반성의 뜻이 조금도 들어있지 않고, 오부치총리의 발언은 책임을 회피하고 반성의 뜻만 밝히고 있다.
■일본은 위안부에 대한 법적책임과 책임자처벌 및 배상을 요구한 유엔 인권소위의 「맥두걸 보고서」 수용도 한마디로 거부했다. 이같은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설립될 역사자료센터에 어떤 자료가 수집 보관될 것인지는 보지 않아도 뻔하다. 식민통치나 전쟁의 합리화 및 책임을 회피하는데 도움이 될 자료가 그 중심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자료센터라면 필요가 없고, 꼭 세우려한다면 이름을 「전쟁합리화자료센터」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