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실업자 문제가 또 하나의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작년 하반기 대기업들은 대량으로 대졸 신규사원을 뽑았으나 IMF구제금융으로 경영이 어려워지자 이들의 채용을 거부하는 안타까운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또한 내년 2월에 대학문을 나서는 졸업예정자들은 일자리 얻기가 하늘의 별따기와 같은 현실앞에 던져져 있다.대졸자 취업추세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이를 총체적인 실업문제에 포함시켜 일괄적으로 처리해 버릴 일이 아닌 것 같다. 내년 우리나라 대학졸업예정자는 19만5,000명으로 이중 대학원진학 군입대등을 제외한 취업희망자는 16만명이다. 여기다 누적된 취업재수생이 16만명이나 돼, 이를 합치면 약 32만명의 대졸자가 안정된 일자리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대량으로 흡수해야 할 기업과 정부가 감량경영을 원칙으로 내세우고 있어 이들 취업희망자중 정규직으로 취업가능한 인력은 극소수다. 대기업은 인턴 제도로, 정부는 공공취업형식으로 비정규직 고용계획을 세우고 있으나 이들과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의 채용을 모두 합쳐도 약 5만5,000명 정도가 우리사회가 감당할 수 있는 대졸자 흡수능력이다. 그렇다면 내년에 약25만명의 대졸실업자가 거리를 방황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졸 실업문제는 이미 여러가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우선 대졸자들이 고교졸업자들의 취직영역을 파고들음으로써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고졸자의 취업문을 더욱 좁게 만들고 있고, 또 전문대졸업생의 일반대편입증가로 대학입시에까지 영향을 미칠 공산이 크다. 또 대학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자격시험, 어학공부등으로 인한 사교육비 증가도 학부모의 짐을 더 무겁게 하고 있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하루 빨리 경제가 회복되어 기업이 이들 인력을 흡수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악조건속에서 기업의 고용능력이 점점 떨어지는 추세다. 이렇게 2∼3년이 흐른다면 일정기간의 대졸자들이 취업능력을 잃어버려 「실업세대」가 나올 것이라고 우려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하루가 다르게 기술과 트렌드가 달라지는 사회변화 속도를 감안한다면 결코 소홀히 넘길 일이 아니다.
지금의 대졸자들은 그들이 원하는 바는 아니었지만 거품경제의 온실속에서 자라나 이제 냉혹한 현실속으로 내보내지고 있다. 그들도 이제 기성세대가 만들었던 거품의 허망함을 빨리 깨닫고 새로운 노동환경에 적응할 각오가 필요하다. 정부는 고용주체이자 고용정책의 담당자로서 기업의 협조를 바탕으로 각종 프로그램을 만들어 이들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들은 달라지는 노동환경, 즉 노동시장 유연성의 제1세대로서 노사정(勞使政)관계정립에 주는 의미는 크기만 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