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유전자 조작 식품 안전한가/“인체·환경에 악영향 우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유전자 조작 식품 안전한가/“인체·환경에 악영향 우려”

입력
1998.07.16 00:00
0 0

◎시민단체들 정보공개 요구생명공학기술로 유전자를 조작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국내에서도 불거지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참여연대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등 6개 시민운동단체는 최근 『유전자조작 식품은 인체나 환경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용금지해야 한다』며 자료 일체를 요구하는 정보공개 청구서를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 시민단체들은 9월에 시민 생명공학자들이 참가하는 워크숍을 열고 유전자조작식품의 위해성을 홍보하기로 했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도 8월에 15명으로 「유전자조작 식품에 관한 시민패널」을 구성, 11월까지 이들 식품의 평가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73년 미국이 유전자재조합 방법을 개발한 이래 유전자조작 기술로 탄생한 신품종은 동물 150여종과 식물 20여종. B형 간염백신을 생산하는 바나나, 인간심장을 가진 돼지, 배만큼 큰 딸기등이 대표적인 예다. 94년부터는 잘 무르지 않는 토마토, 병충해에 강한 콩, 생산량이 많은 옥수수, 냉해에 강한 딸기등을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됐다. 이들 식품은 대장균 어류등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이식해 만든 것으로 ▲수확량 증가 ▲농약 사용감소로 환경보전 ▲작물 생산비 절감효과가 있어 갈수록 재래종을 밀어내고 있다. 지난 해 미국 콩생산량의 30%, 옥수수의 25%, 면화의 40%가 유전자조작으로 만들어진 변종이다.

시민단체들의 거부이유는 이들 식품이 알레르기를 일으키고 항생제의 내성을 높이며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 참여연대 송영민(宋永敏)씨는 『기형이나 다름 없는 식품은 유전자 변형을 일으켜 결국 이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웨스턴 온타리오대학의 조 쿠민스 명예교수등은 변이된 유전자가 암 독소 돌연변이등을 일으킬지 모른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일본 호주 네덜란드 독일등에서는 이미 2∼3년 전부터 시민단체와 그린피스를 중심으로 유전자조작식품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

유전자조작 식품의 국내시판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외국산 잡곡을 통해 많이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원 박용하(朴龍河) 박사는 『유전자조작 식품의 유해성은 과학적 규명이 안된 상태』라며 『이 문제는 철저한 검증을 거쳐 신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스위스가 6월에 실시한 국민투표에서는 66%가 유전공학 응용에 찬성, 34%가 반대하기도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박선희(朴仙姬) 연구관은 『수입자가 유전자조작식품의 안전성에 관한 자료를 요청하면 생산자가 제시하도록 연말까지 지침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선년규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