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강경자세 벗고 “총무회담 갖자” 제의/野도 “의장보다 상임위장” 현실론 대두제헌절(7월17일)이 다가오는데도 여야는 원구성을 놓고 촌보(寸步)도 양보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여야대립의 이면에서는 원구성을 위한 내밀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특히 완강한 입장을 취해온 여권 핵심부의 기류에 미묘하면서도 복잡한 변화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그 변화기류는 10일 국민회의자민련 8인협의회에서 포착됐다. 양당은 『17일 제헌절 이전에 원구성을 마무리해 보자』며 한나라당에 13일 총무회담을 개최하자고 제의했다. 양당은 또 총무회담이 여의치 않으면 「3당3역 회의」에서 해법을 모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얼마전까지 여당이 『대화를 안하려면 그만두라』식으로 강경한 자세를 취하던 때와는 다른 분위기다.
물론 국민회의 한화갑(韓和甲) 총무 등 여당 당직자들은 여전히 『국회의장을 여당이 맡아야 한다는 원칙에는 변화가 없다』고 단언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자유투표에 의한 국회의장 선출」이라는 한나라당 제의를 논의해 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실제 한총무는 9일 청와대에서 당3역 보고후 별도로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게 다양하고 「융통성」있는 원내대책을 보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의 한 핵심인사는 『선(先)국회법 개정협상, 총리임명동의안 합의처리 등을 조건으로 의장 자유투표를 검토할 수도 있다』고 융통성의 내용을 설명했다.
한나라당에서도 『국회의장 보다는 중요한 상임위원장을 더 많이 차지하는게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대두되고있다. 이미 한나라당 하순봉(河舜鳳) 총무가 총재단회의에서 이같은 절충안을 내놓은 바 있다. 하총무의 의견은 총재단의 반대로 일단 유보됐으나 협상이 재개되면 다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여야의 융통성있는 협상안이 제헌절을 의식한 「시간끌기용」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않다. 우선 여당이 선(先)국회법협상 등을 조건으로 자유투표제를 수용하거나 야당이 국회의장을 양보할 경우에도 21일 재보선 이전의 타협은 물리적으로 어렵다. 때문에 여야가 어떤 절충점을 마련한다해도 재보선 이후 선거승패, 이에따른 의석분포, 여당의 야당의원영입 등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면 원점으로 회귀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이영성 기자>이영성>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