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북 11∼12곳 선전/경남북 7∼8곳서 강세95년 6·27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무소속 돌풍」이 이번 6·4 지방선거에서도 재연될 수 있을까. 무소속의 약진여부는 민심의 흐름, 지역정서의 변화, 기성정당에 대한 평가 등을 말해준다는 의미에서 관심을 모은다.
3년전 6·27때는 15개 광역단체장 중 대구 제주에서 무소속이 당선됐고 230개 기초단체장 중 53개가 무소속의 몫이었다. 무소속 당선비율은 광역단체장 13.3%, 기초단체장 23.0%였다. 특히 당시 여당의 텃밭인 경남에서 무소속 승리지역이 21개 기초단체장 중 11개(52.3%), 경북에서는 23개중 14개(58.3%)로 나타나 파란을 일으켰다. 반면 정당대결이 치열했던 서울의 구청장 선거에서는 무소속이 한명도 당선되지 않았다.
이번 선거에서는 무소속 당선자가 3년전만큼 나오지는 않을 전망이다. 물론 광역단체장의 경우 강원 부산 울산에서 무소속 후보가 선전하고 있다. 그러나 기초단체장에서는 무소속의 우세 및 당선확정지가 10여곳, 경합지가 30곳 안팎이어서 모두 당선돼도 당선비율은 17%에 그친다.
하지만 무소속 경합지가 경남북 보다는 전남북에서 더 많아지는등 내용적으로는 의미있는 변화가 엿보인다. 3년전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무소속 당선자가 전북 1명, 전남 2명에 불과했으나 이번에는 전북 4곳, 전남 7∼8곳이 무소속의 우세 내지는 경합지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경남은 3∼4곳, 경북은 4곳 정도만이 무소속의 선전지역으로 분류된다.
이는 인물론과 소(小)지역정서의 변화에 기인한다. 국민회의가 호남에 공천한 후보중 인물에서 무소속에 밀리는 곳이 적지 않은데다 정권교체로 인해 지역정서가 느긋해져 꼭 국민회의만을 지지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역으로 부산·경남에서는 정권을 잃은 일탈감 등이 작용, 무소속 보다는 정당지지 성향이 더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다.<이영성 기자>이영성>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