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TV의 대하사극 「용의 눈물」이 오늘(31일) 끝난다. 96년 11월 시작된 이 드라마는 여성시청자를 의식했던 종전의 멜로 사극들과는 달리 남성들에게도 드라마를 보는 즐거움을 안겨주었다. 조선 건국초의 긴박하고 역동적인 정세 속에 서둘러 왕권을 확립하려는 방원(태종)의 야심과 음모, 술책등을 박진감 있게 묘사한 이 드라마는 시청자로 하여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史實)을 재음미하는 재미를 주었다.「용의 눈물」로 재미를 본 KBS는 후속편으로 「왕과 비(妃)」를 준비하고 있으며, MBC에서는 이미 「대왕의 길」이 방영되고 있다. 용의 승천에 즈음하여 두 개의 「왕」드라마가 등장하는 것이다. 동양문화권에서 용은 예부터 왕이나 영웅 같은 위대한 존재를 비유해 왔다. 새 드라마 제목들을 「왕」으로 정한 배경에는 「용」이 확보해 놓은 인기를 잃지 않으려는 계산이 깔려 있음을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잘 만들어진 드라마를 보는 것은 기분 좋고 유익한 일이다. 그러나 특히 역사를 재해석하는 사극에는 엄정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 우리가 전에 없이 「왕」 제목의 드라마 두 편을 보게 된 것은 결코 유쾌하지 않다. 지금까지는 사극 제목이 주로 「연산군」 「장희빈」 「한명회」 「임꺽정」등 고유명사였다. 제목에는 내용을 상징하는 함축성과 함께 시대적·정치적 감각이 반영되어야 한다. 2000년대를 눈앞에 둔 지금 시청자를 왕정시대의 정서로 돌려놓으려는 것인지, 새로 시작하는 드라마의 「왕」제목에서는 시대착오적인 어떤 의도를 짐작하게 된다.
「용의 눈물」도 그 점에서 거부감을 주었다. 이 드라마는 언론이 당시 여당이었던 신한국당 대통령후보 경선에 나선 정치인들을 「8룡, 9룡」으로 부르는 분위기 속에 인기를 높여 갔다. 당시 대선을 1년 앞두고 드라마를 시작한 방송사와 여당 후보에게만 「용」대우를 한 언론들은 이미지조작, 상징조작의 의도가 있던 것은 아니었나를 뒤돌아 볼 필요가 있다.
시청자는 허구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도 사실처럼 받아들이게 마련이다.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한 사극은 특히 이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청률을 항상 의식하고 있는 방송사로서는 드라마를 재미있게 만드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시청률을 의식한 드라마가 왕위를 찬탈하기 위해 부친(태조)과 싸우고 형(정종)을 몰아냈으며 두 아우(방석, 방번)를 죽음으로 몰고 간 태종의 폭력성과 패륜을 영웅화한 것이 교육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도 숙고해야 한다.
새로 시작하는 두 드라마는 보편적 기준에서 역사를 재해석하고 과거 인물들이 지녔던 이상과 내면적 진실을 보여 주며, 또한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여 시청자의 공감을 얻기 바란다. 「용」에서 「왕」으로 이어지는 드라마들이 시대착오적인 영웅심리를 자극할까 우려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