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재경·康 경제수석 경제정책 투톱체제로/불협화음 조기조율… 구조조정 가속/동아 처리 등 응급처방도 빨라질듯두 수석의 맞교체에 따라 앞으로의 경제정책은 이규성(李揆成) 재정경제부 장관과 강경제수석의 투톱시스템으로 운영될 공산이 커졌다. 국제통화기금(IMF)체제이후 경제정책의 초점이 고금리 연쇄부도 구조조정 등 현안 해결에 모아져 재경부 장관과 경제수석의 비중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이장관에게 경제사령탑으로 활동하도록 힘을 실어주고 있고, 강수석은 깔끔한 일처리도 김대통령의 신임을 얻고 있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부처간 불협화음의 조율이 한결 쉬워지면서 금융 및 기업의 구조조정작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경제팀이 정치인 출신 실세, 정통관료를 지낸 영입파, 실세이나 조직장악력이 다소 떨어지는 학자 등으로 구성이 다양해 구조조정 방안을 놓고 혼선을 빚곤 했다.
김대통령의 확실한 경제대리인이 없는 상황에서 「실세」는 제목소리를 내는 반면 「영입파」는 몸사리기를 했기 때문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장관과 강수석이 김대통령의 신임에다 풍부한 행정경험을 바탕으로 경제부처간 현안을 발빠르게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장관과 강수석은 오랫동안 경제부처에서 함께 일한 경험이 있어 호흡을 잘 맞출 것으로 보여 금융과 기업구조조정의 고삐를 바짝 죌 전망이다.
관심은 동아건설 문제 등 현안의 조기매듭 여부다. 경제부처내에서는 이장관 등이 실무경험이 많아 결론을 좀 더 빨리 이끌어 낼 수 있지 않겠는냐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인도네시아사태 등으로 우리경제 여건이 급변하는 시점에서는 학자출신보다는 실물경제를 잘 아는 인물이 정책집행과 응급처방을 제대로 할 수 있다』고 언급,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러나 김대통령이 얼마만큼의 힘을 실어주느냐가 관건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한편 새정부 조각에서 돋보였던 다양성이 퇴조하고 일사불란함이 강조되면서 자칫 정책기조가 개혁보다는 안정위주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에서 이번 교체에 앞서 경제특보 신설을 검토한 것도 이같은 점을 우려한 때문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경제정책 운영의 새틀을 짜겠다는 김대통령의 구상이 IMF체제로 인해 다소 후퇴하게 됐다는 점을 아쉬워하고 있다.<정희경 기자>정희경>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