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4일의 지방선거가 오늘(19일) 후보등록과 함께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다. 이번 선거는 95년 6·27 선거로 첫 걸음마를 한 1기 지방자치제의 3년 공과를 점검하고 2기 지자제의 성공적 운영바탕을 마련하기 위한 축제마당이 되었으면 하는 게 국민의 바람이다. 불행히도 선거 분위기는 국민 여망을 외면하고 있다.이번 선거는 김대중 정부 출범 3개월여를 평가하는 의미도 있다. 정치권이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인식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지방선거 결과는 앞으로 필연코 진행될 정계개편 향방과 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은 물론 여야 모두 향후 정국대처 방식의 진로와 속도를 달리해야 할만큼 민감한 정치현안이다.
이를 반영하듯 적지 않은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다. 먼저 당선위주의 후보 공천이 문제점으로 등장하고 있다. 여야 모두 당선을 절대명제로 삼아 피아를 가리지 않고 당선가능 인사를 영입, 공천장을 주고 있다. 이는 정당의 정체성(正體性)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하는 행위다.
상당수 지역의 후보 경선과정에서 금품수수와 향응제공등 불법행위가 자행되었고 사전 선거운동이 다반사로 벌어지고 있는 것도 문제다. 이는 앞으로 있을 탈·불법선거운동의 예고편이다.
정치권이 당선과 선거전 승리를 정국주도권 장악의 첩경으로 인식하는 이상 과열은 불가피하다. 중앙당이 지방선거에 전력투구하는 것도 이같은 인식을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중앙당이 선거운동을 가열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중앙당의 지방선거 개입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정치권에서 강구되어야 한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지역분할 정치현상이다. 여야 모두 지역기반의 광역단체장을 싹쓸이 하겠다고 벼르고 있고 은근히 이를 부추기는 발언이나 행동을 서슴지 않고 있다.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난 여서야동(與西野東)을 전제로 한 선거운동방법까지 마련해 놓고 있다고 한다. 서울과 수도권에서 격돌이 불가피 해지면서 서울과 수도권 주민에게도 지역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행동이나 발언까지 나오고 있다.
선거의 공명성을 보장하고 과열을 막기위해서는 정치권 모두의 자각이 필요하다. 특히 집권당이 확실한 공명선거 의지를 가져야만 선거분위기가 달라진다. 1기 지자제 선거가 비교적 공정하게 치러졌다면 96년 4·11총선거는 혼탁했었다. 이는 당시 집권당과 대통령의 공명선거 의지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