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민간부분의 대북(對北)접촉이 과열을 우려할 정도로 활발하다. 지난달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남북차관급회의가 결렬된 후 대화분위기가 소강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북행열기는 뜨겁기만 하다. 재벌그룹의 총수는 대북 영농지원을 위해 판문점 육상통로만 열어주면 자신의 농장에서 키우는 소 1,000마리를 몰고 올라가겠다고 했다. 또 유력 경제단체장은 임가공협력 논의를 위해 방북신청을 했는가 하면 여야 국회의원들도 공동사진전 참석을 이유로 방북을 추진중이다.모대학 총장은 북측 대학과의 학술교류를 위해 이미 북한에 머물고 있고 리틀엔젤스예술단은 평양에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합창하고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3월 한달간 북한주민 접촉신청은 경제교류 50건, 이산가족 45건, 종교관계 10건등 총 131건에 297명으로 이중 68건이 성사돼 147명이 북한주민을 만난 것으로 밝혀졌다. 또 새정부 출범 전후인 1월부터 3월까지 228명이 승인을 받고 북한을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북한행 러시가 계속되고 있는 배경은 뭘까. 김대중정부는 출범초 정경분리원칙에 따른 남북경협 활성화 방침을 선언했다. 특히 정부는 지난달 30일 남북경협활성화 조치를 통해 대북투자규모의 제한폐지, 투자품목 대폭완화, 대기업총수 방북 전면허용등 몇가지 전향적인 조치를 취한바 있다.
정부의 이같은 대북 이니셔티브가 폐쇄적인 북한을 어느정도 개방의 길로 이끌어낼지는 두고 볼 일이다. 하지만 고무적인 시사도 없지 않다. 지난달 18일 김정일은 남북관계개선등 대남정책 5대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는 김대통령이 취임초 천명한 무력도발 불용, 흡수통일 배제, 화해협력 추진등 대북정책 3원칙에 대한 반응이라는 측면에서 흥미롭다.
그러나 아직 낙관은 금물이다. 북한의 대남전략이 바뀌었다는 조짐은 아무데도 없다. 그럼에도 우리기업과 기업인들이 북행을 서두르는 것은 혹시 IMF한파 때문에 생긴 착시현상은 아닐지. 바쁘다고 생각될수록 돌아가라는 속담처럼 지금이야말로 정부나 기업이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시점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