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이어 加 총리 쿠바방문… 남미국들도 관계회복 모색쿠바를 국제사회에서 고립시키려는 미국의 해묵은 외교정책이 붕괴 위기를 맞고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역사적 쿠바방문이 이루어진 1월 이후 유엔 등에서 미국편은 급속히 줄고있다. 반면 미국의 제재 위협에도 불구하고 카스트로와 거래를 트려는 각국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26일부터 시작된 장 크레티엥 캐나다총리의 쿠바방문은 미국의 쿠바 고립정책에 대한 결정타로 평가되고 있다. 이날 현직 캐나다 총리로는 20여년만에 처음으로 아바나에 입성한 그는 도착성명에서 『새로운 천년이 다가오면서 미주대륙, 나아가 전세계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우리 모두는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출발 직전 『건설적 개입을 통한 변화 유도』를 새 쿠바정책으로 제시했다.
앞서 21일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인권위원회에서는 미국의 쿠바결의안이 92년 시작된 이래 7년만에 처음으로 부결됐다. 쿠바 고립을 위한 국제적 공조의 핵심고리로 추진된 결의안은 쿠바에 대해 인권보호 및 자유신장, 정치범 석방 등을 촉구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미국의 치열한 로비에도 불구하고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19개국이 결의안 채택에 반대했다.
주변국의 쿠바접근도 더욱 노골화하고 있다. 캐나다와 함께 그동안 쿠바와의 외교관계를 단절하지 않았던 유일한 남미국인 멕시코는 조만간 외무장관을 아바나에 파견한다. 또 4월부터 공식 외교관계를 회복한 도미니카에 이어 브라질도 곧 외무장관을 쿠바에 파견, 국교회복을 모색할 예정이다.
스페인 일본 프랑스 우크라이나 모잠비크 레바논 등도 최근 수주 동안 정부 대표단이나 투자자들을 쿠바에 파견, 향후 관계증진에 대비하고 있다.
미국무부는 최근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각국이 (인권상황에도 불구하고) 카스트로를 지원하려한다는 오해를 줄 수 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하지만 이같은 「고집」이 거대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얼마나 견뎌낼 수 있을 지는 불투명하다.<장인철 기자>장인철>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