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 광역화로 경영개선을/SO간 인수합병 등 허용/2∼3개 민방끼리 통합/가입·시청자 늘려야케이블TV와 지역민방의 위기해법은 결국 「결자해지」일 수밖에 없다. 위기의 근원이 국내 방송시장의 수급능력에 대한 정확한 분석없이 다매체 다채널 방송구조를 성급히 정착시킨 정부의 정책실패에 있는 만큼, 이제부터라도 정부가 앞장서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이다.
케이블TV의 경우 업계나 학계에서는 꽤 오래 전부터 상당히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위기타개책을 제시한 상태다. 대표적인 것이 종합유선방송국(SO)의 복수겸영 허용. 복수소유 종합유선방송국(MSO)은 케이블TV 출범때부터 업계 내부에서 줄기차게 주장해온 것으로, 현재처럼 SO당 사업구역이 10만가구(1차 SO)에서 20만∼30만가구(2차 SO)에 불과해서는 애초부터 수익성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 SO간의 인수합병(M&A)이나 수평결합을 허용, 사업구역을 광역화함으로써 경영수지를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정부도 96년 11월 국회에 제출한 통합방송법안에서 MSO를 허용했으나 법률통과가 지연돼 아직까지 현실화하지 못하고 있다.
다음이 중계유선방송국과 SO의 통합 추진. 가격경쟁력과 시장 선점으로 케이블TV에 비해 월등히 매체영향력이 높은 중계유선방송망과의 통합 없이는 케이블TV의 위기는 극복될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한국케이블TV 방송협회 조재구 사업지원국장은 『중계유선방송국과 SO가 제휴나 통합의 방식으로 단일사업화 하면 케이블TV의 유료가입자는 단번에 600만∼800만가구로 늘어나게 된다』며 『이렇게 되면 한국전력이나 한국통신 등 전송망사업자의 영역으로 분리됐던 전송망의 애프터서비스도 SO가 직접 담당, 가입자들의 불만을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SO의 채널선택권 부여와 이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도 현실성있는 방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지금처럼 SO가 28개 채널(유료채널 캐치원 제외)을 의무재전송하는 방식을 고수해서는 마케팅차원에서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대호 연구위원은 『SO가 가입자의 입맛에 맞게 채널을 몇개씩 묶어 편성할 수 있게 되면 가입자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하지만 자기 채널이 방송되지 않는 프로그램공급업체(PP)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는 신중히 다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민방문제는 무엇보다 방송권역의 광역화를 통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부산방송 이윤선 상무는 『부산에서 불과 40㎞ 떨어진 울산, 대전에서 자동차로 30∼40분 거리인 청주와 전주에 각각 지역민방이 생긴 것은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인 동시에 정치논리에 따른 것』이라며 『정부의 방송산업정책 부재로 말미암아 지역민방은 지역민을 상대로 일회용·소모용 프로그램만 방송하는 꼴이 되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지역내 2, 3개 지역민방이 자본결합방식으로 통합, 방송권역의 광역화가 이뤄지면 재정구조 개선은 물론 시청자들에게도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형식상 같은 지역민방인 서울방송(SBS)에 비해 9분의 1∼1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광고요금의 현실화, 극초단파(UHF) 채널이나 중계유선방송을 통해서만 시청할 수 있는 지역민방의 수신방법 재조정도 지역민방의 위기타개책으로 꼽히고 있다.<김관명 기자>김관명>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