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빅딜’ 줄다리기/이종재·경제부(기자의 눈)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빅딜’ 줄다리기/이종재·경제부(기자의 눈)

입력
1998.02.04 00:00
0 0

 재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개혁이 준비도 덜된데다 혼선을 빚어 가뜩이나 어려운 기업들을 더욱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는 것이 그 요지다. 일부 재계 관계자는 『기업인들이 뭘 잘못했느냐』고까지 언성을 높이고 있으며 『기업의 생존이 위협받고있는만큼 새정부가 빅딜등 비현실적인 재벌개혁에 매달리지 말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정치권 일부에서까지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어 재벌개혁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빅딜에 대한 공방전은 재계쪽의 우위로 굳어 지는 듯 한 상황이다. 이같은 양상은 나아가 새정부 개혁정책의 후퇴로까지 비춰지고 있어 『빅딜의 의미가 왜곡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빅딜은 당초 쌍용그룹이 자동차사업을 대우그룹에 넘기는 과정에서 언론이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빅딜은 새정부의 재벌개혁방안으로 제시되면서 「빅딜=기업 구조개혁」이라는 포괄적인 의미로 자리잡는 듯했다. 그러나 대통령당선자측의 요구강도가 높아가자 빅딜을 사업교환만으로 축소해석하려는 분위기가 생겼고 급기야 재계는 이를 『새정부의 앞뒤 가리지 않는 정책의 표본으로 현실성 없음』을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개혁은 분명 제도적인 틀안에서 이루어져야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 빅딜역시 예외일 수 없다. 일부 정치인이나 고위각료가 재벌개혁 촉구과정에서 엑셀레이터와 브레이크를 구분못한 예도 없지 않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빅딜이 재계를 혼란에 빠뜨리는 상징이 될 수는 없다.

 기업, 특히 재벌로 분류되는 대기업그룹에 대한 개혁촉구는 사실 국제통화기금(IMF)의 관리체제에서 출발한다. 재벌의 과다한 차입경영개선과 선단식경영의 해소는 돈을 빌려준 IMF의 권고사항이었다. 빅딜은 바로 새정부가 IMF의 권고에 플러스 알파를 요구하면서 내놓은 안중 하나다. 문어발경영으로 대표되는 재벌의 경영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부실자산을 처리하고 계열사를 정리하며 그 과정에서 경쟁력없는 사업은 다른 기업에 넘기도록 하라는 것이다.

 재계가 새정부의 고통분담 촉구나 IMF체제의 조기졸업에 대한 국민적 바람에 동참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빅딜의 참뜻을 찾아 보다 전향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