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시티폰 반납움직임·PCS도 과잉/반도체·유통·중화학·조선도 교통정리 “타깃”정치권이 주요 그룹간 빅 딜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하자 「가상현실」로만 치부되던 빅 딜이 불가피한 선택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삼성의 자동차사업을 비롯, 그룹당 진출업종이 최소 20여개가 넘는 현실을 감안하면 재계의 빅 딜대상은 사실 전 업종, 주요 그룹 모두를 포함한다.
재계는 현재 본격화하고 있는 자동차부문의 구조조정을 주축으로 전자와 중공업 유통산업과 정보통신산업등을 기업끼리 서로 주고받아야 할 거래의 주요 업종으로 지목하고 있다.
물론 『아직 구체적으로 정한 바는 없으며 현실적인 제약도 많다』는 것이 그룹 관계자들의 공통된 말이지만 재계는 이들 업종을 중심으로 대상과 방법등을 협의하는등 물밑작업에 들어간 상태다.
가장 먼저 본격화하고 있는 업종은 자동차다. 이는 현대 삼성 대우 기아등 국내 굴지 그룹들의 공통현안인 동시에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GM)나 포드까지 맞물려 있는 상황이다.
이미 쌍용자동차가 대우로 넘어가 사실상 빅 딜이 시작된 상황이지만 자동차업종의 구조조정은 이제부터라고 봐야 한다.
22일 기아그룹이 외국자본 5천억원을 포함, 모두 1조원의 증자를 통해 조기 정상화할 계획임을 밝히고 나선 것이나 대우가 GM과 수십조달러규모의 자금으로 국내외에서 합작사업을 벌인다는 계획등은 자동차산업 구조조정의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기 일보직전의 움직임이라는 해석이다.
과잉 투자의 비판이 높은 정보통신분야도 구조조정의 주요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벌써 시티폰등은 반납 움직임을 보인바있고 개인휴대통신등 휴대폰 사업은 몇몇 그룹의 경우 과부담에 시달리고 있어 빅 딜의 대상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실정이다. 반도체, 중화학, 조선등 과잉설비로 몸살을 앓고 있는 분야는 어차피 구조조정의 세례를 받을 전망이다.
이밖에 재계에서는 롯데그룹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4억달러의 용처를 놓고 S그룹과 호텔, 대규모 위락 및 유통시설등에 대한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설이 나오고 있다.
한편 신정권측은 재계의 빅 딜을 활성화하기 위해 외국자본이 참여하는 중개기구를 추진하고 있어 빅 딜이 국제적 관심사로 부상할 전망이다. 빅 딜 중개기구는 국내기업간 빅 딜에는 자금동원력등에서 제약이 따를 것이란 현실을 감안하는 한편으로 외국자본을 유치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이종재 기자>이종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