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개편은 차기정부 양대 현안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물론 경제위기문제이다. 김대중 대통령당선자는 최근 한 사석에서 「요즘 무슨 생각을 많이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경제문제 해결을 70%, 정부조직 개편을 30%정도 생각한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진다.새 정부에 쏠리는 관심중 하나는 국무총리의 역할과 위상이다. 정부개편의 막바지 논란에서 총리실의 조직과 권한문제가 핵심쟁점인데서도 이는 입증된다. 논의초기만 해도 총리실에 정부예산과 인사기능을 집중시키는 방안이 포함될 정도였던게 새 총리의 위상이다. 총리직의 강화가 당연시된 이유는 김종필 자민련명예총재때문임이 물론이다. 김명예총재는 50대 50의 지분을 갖는 「공동정권」의 파트너이자 지난 대선의 결정적 승인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총리실 강화 논란이 매우 작위적이라는 느낌이 들 수 밖에 없다. 따지고 보면 애당초 논의의 출발이 총리직 자체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김명예총재라는 인물의 비중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다. 대통령제하 우리나라의 총리직이 정치적으로 행정적으로 어떤 자리인가에 대해서는 건국초기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이에대한 근본적인 대답은 지금도 없는 상태나 마찬가지다. 사실 국무총리라는 제도 자체가 정쟁의 타협적 산물이라는 숙명을 갖고 있기도 하다. 총리제도는 48년 건국헌법 제정당시 대통령제를 고집한 이승만 박사와 내각제를 선호한 한민당이 절충해 만들어낸 사생아였다. 「대독총리」에서 「실세총리」에 이르기까지 사람에 따라 숱한 별칭이 생겨날 만큼 애매한 구석이 많은 제도로 지적되곤 했다.
그러나 새 정부의 총리권한 논란에는 이보다 더한 문제가 깔려 있다. 국민회의와 자민련간의 신경전이 바로 그것이다. 정권의 공동운영이라는 정치적 합의가 뒤섞이면서 정부개편의 당위성은 희석되는 인상도 있다. 결국 총리위상강화논란은 집권세력내 역학게임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공동정권 운영의 향배를 점칠 단서도 주고 있다. 「JP총리」가 아니었다면 정부개편에서 총리위상을 두고 왈가왈부 자체가 없었을 것이고 보면 더 그렇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