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대한 최대채권자는 미국이 아니라 유럽이다」한국의 외채조정협상을 미국이 주도하고 한국정부도 미국에만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이자 유럽계 은행들이 섭섭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유럽순방(7∼13일)후 귀국한 이경식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청와대 경제대책회의에서 『한국에 대출이 많은 유럽은행들은 대출규모가 적은 미국은행들이 외채조정협상을 주도하는데 강한 불만을 갖고 있다』며 『이들은 또 책임있는 정부고위관계자들이 미국 뿐아니라 유럽도 방문,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교환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럽계 은행들은 우리나라 총채무의 35%가 집중된 최대채권자. 일본은 30%, 미국은 10%에 불과하다. 유럽으로선 한국지원에 대해선 호의적이지만 「소액채권자」인 미국이 외채협상에서 독주를 하는데 대해 계속 못마땅한 반응을 보여왔다.
상업적 동기로만 외채문제에 접근, 터무니없는 고금리를 부과하려는 미국은행들과는 달리 유럽은행들은 이총재에게 상당히 「장기적이고 근본적 문제」를 권고했다. 『외채협상은 외국의 각계인사를 개별접촉해 설득하는 것이 좋은데 그 적임자는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국제금융전문가로서 한국 정부를 대표한다는 신뢰감을 줄수 있는 인사여야 한다』(트리셰 프랑스은행총재), 『단기채무를 짧은 기간에 고금리 장기채권으로 전환하기 보다는 일단 3개월정도 만기연장에 주력, 신인도를 회복한 뒤 외채조정문제를 결정하는게 유리하다』(에디조지 영란은행총재, 프랑스 소시에테 제네랄 관계자), 『민간외채에 대한 정부의 무제한·영구적 보증은 경제발전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하며 정부보증은 1∼2년정도 혹은 이자지급에만 국한하는게 좋다』(티트마이어 분데스방크 총재)고 충고했다.<이성철 기자>이성철>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