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당선자의 재계에 대한 주문이 차츰 구체화 하고 있다. 정리해고제 도입 등 국제통화기금(IMF)의 요구사항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대기업 경영진의 자발적인 고통 분담조치가 갈수록 절실해지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주 김당선자가 한국노총, 민주노총 대표와의 면담을 가진 뒤 국민회의 조성준·조한천 의원 등 노동계 출신 의원들은 김당선자에게 『사용자측이 선행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노·사·정 합의 체결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요지의 건의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제 파탄에 대한 책임문제를 놓고 노조측의 거부 반응이 심한 만큼 먼저 기업측에서 이를 완화하기 위한 가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회의의 고위관계자도 『앞으로 노·사·정 협의체가 구성될 경우 김당선자측은 노동계 보다 사용자측과 접촉할 일이 더 많을 것』이라며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기업주가 먼저 책임을 지는 자세를 보이는게 바람직 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노·사를 평등하게 대하겠다는게 김당선자의 생각』이라며 『대량실업 사태를 눈 앞에 두고 있는 만큼 기업주도 과거와는 다른 입장을 대외적으로 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당선자로서는 앞으로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많은 기업주들이 경영권을 포기해야 하는 사태가 예상되는 만큼 기업측에 명시적인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데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내년초 구성될 노·사·정 협의체의 위원장으로 노동계 출신인사가 아닌 한광옥 부총재가 거론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재계에 대해 김당선자의 비중있는 메시지를 전할 인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부총재는 협의체에 직접 참가하는 것을 꺼리고 있고 김당선자도 위원장 인선을 아직 결정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한부총재도 과거 국회 노동위원장을 지낸 경험을 살리고 노·사 양측에 김당선자의 의중을 전하는 등 측면 지원에는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생각인 것으로 알려졌다.<유승우 기자>유승우>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