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협정 타결 등 실리챙기기도 노려국제통화기금(IMF)과 서방선진7개국(G7)이 한국에 긴급 지원할 100억달러중 33억달러가 일본이 부담할 몫이다. 이번 결정으로 일본은행들 사이에서는 자금회수 자제 및 상업차관제공 재개 움직임이 무르익고 있어 향후 한국에 대한 지원은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일간 금융지원 협상의 고비는 지난달 28일 임창렬 경제부총리의 도쿄(동경)방문이었다. 일본은 양자간 직접융자를 요구하는 한국에 대해 「IMF를 통한 지원」 입장을 고수했다.
한국은 일본의 입장을 변화시키기는 어렵다고 판단, 일본이 미국을 설득해 IMF 지원을 앞당기도록 하는 전략으로 선회했다. 임부총리는 당시 미쓰즈카 히로시(삼총박) 대장성장관과의 회담을 앞두고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오늘 일본의 입장을 받아들이겠다. 이를 계기로 미국도 IMF에 영향력을 발휘해 지원이 앞당겨질 수 있으리라고 본다』고 보고했다.
일본은 한국과 IMF의 협상이 타결되자 곧 IMF를 통한 100억달러의 특별융자 제공의사를 표명했다.
IMF 구제금융 이후에도 금융사정이 나아지지 않자 한국정부는 일본이 약속한 100억달러의 조기지원을 요청하기 시작했다. 12월 중순에 들어서 일본 금융기관의 한국시장 자금회수는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22∼23일 김만제 포철회장과 정인용 전 부총리, 24∼25일 이경식 한국은행총재가 도쿄 은행관계자들을 만나 협조를 구했다.
일본은 그동안 한국지원에 있어서 미국을 의식해 표면적으로 어중간한 입장을 취해왔다. 그러나 한국의 위기를 방치하면 일본도 위험하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 물밑에서는 적극적으로 한국을 도왔다는게 한국측 관계자들의 평가다.
일본은 이 과정에서 한국으로부터 수입선 다변화제도 완전해제를 이미 따냈고 난항을 겪고 있는 양국간 어업협정 개정작업의 조기타결을 강력히 주문하고 있다.<도쿄=김철훈 특파원>도쿄=김철훈>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