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사태로 분노한 민심 수도권·부산 등 늘어/여론조사 전문가 분석은 10% 기권 나머지 여·야표/D2,3일 분위기가 좌우투표일 9일을 앞두고 이번 대선만큼 부동표의 향방에 관심이 집중됐던 적도 드물다. 세 후보의 지지율격차가 모두 부동층 범위내에 있어 선거가 종반전으로 치닫고 있는데도 누가 당선될지 여전히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부동표의 이동에 따라 현 지지율 1·2위 후보간의 역전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여론조사기관들의 의견과 각 후보진영의 견해를 종합해 볼 때 9일 현재 부동층의 규모는 20%정도에 달한다. 여론조사시 호감도 등의 재질문을 통해 부동층규모를 줄여도 10%정도는 막판까지 남아있는 「떠있는 표」이다.
이같은 규모는 공식선거운동 돌입전보다 오히려 늘어난 수치이다. 한국일보가 지난달 25일에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단순지지도분야의 「모름」응답자는 16.5%정도였고 2차 질문까지 했을 경우에는 6%대에 불과했었다.
여론조사기관들과 각 후보진영은 그 원인을 『선거운동시작후 「국제통화기금(IMF)사태」라는 새로운 변수가 등장하자 일부 유권자들이 지지후보를 재검토하게 됐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한나라당 서상목 기획본부장은 『선거전 시작후 경제위기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폭발하면서 부동층이 많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한 여론조사전문가는 『지역적으로 경제상황에 민감한 서울과 수도권, 종금사가 무더기로 영업정지당한 부산의 부동층규모가 전국 평균치를 웃돌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한나라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8일 조사결과 부산지역의 부동표는 감소한 대신 경북 북부 농촌지역에서 부동표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며 국민회의측의 「농촌부채 탕감 공약」을 원인으로 지적했다.
부동표의 「성분」을 놓고서는 각 당 및 여론조사기관들의 시각이 약간 다르다. 일부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전체 20%중 10%정도는 기권, 나머지 10%중 5%정도는 친여성향, 나머지 5%정도는 친야 또는 판단유보층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비해 한나라당은 7할, 국민회의와 국민신당은 적어도 5할정도가 잠재적인 자신들의 지지표라고 주장한다. 92년 대선의 경우 유권자의 11.6%가 투표 2∼3일전, 7.9%가 투표당일에 후보자를 선택했다(미디어리서치). 이번 선거에서도 부동표의 향방은 「D―2, 3일」의 분위기에 따라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신효섭 기자>신효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