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S출범으로 해지 늘고 고정비 엄청나 적자 눈덩이/10개 지역업체 9개월만에 ‘한통서 사업권 인수’ 희망시티폰사업이 도중하차위기를 맞고 있다.
올 3월 초저가를 앞세워 「이동전화의 가격파괴」시대를 열겠다며 화려하게 등장한 시티폰이 서비스개시 9개월만에 스스로 문을 닫을 지경에 처한 것이다.
서울이동통신, 나래이동통신, 부일이동통신 등 한국통신을 제외한 전국 10개 시티폰사업자들은 최근 내부적으로 사업포기방침을 확정, 조만간 정부에 사업취소를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18일 밝혀졌다.
시티폰지역사업자들은 이어 내달께 운영시설과 가입자를 시티폰전국사업자인 한국통신에 넘기는 방안을 한국통신과 정보통신부에 공식 제기할 방침이다.
9개월만에 가입자 70여만명을 확보, 시장진입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있는 시티폰이 갑자기 「두 손」을 든 것은 영업비용 이외의 고정비용이 통화수익을 훨씬 초과하는 사업구조때문이다.
시티폰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누적통화료수익이 70여억원인데 한국통신에 접속통화료, 기지국사용료, 전용회선사용료명목으로 주는 비용이 무려 83여억원에 이르고 있다. 즉 100원을 버는데 한국통신에 120원을 줘야한다는 것.
이와함께 3,000억원대의 투자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통화량이 예상외로 적어 올해 적자가 2,500억원대에 이를 만큼 불어나고 있는 점도 또다른 배경이다.
하지만 사업포기의 결정적인 요인은 개인휴대통신(PCS)의 등장이다. 요금면에서 별 차이가 없는 PCS가 당초 계획보다 6개월 앞당겨 10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시티폰이 엄청난 타격을 받고있다는 것.
실제 PCS등장이후 시티폰해지자가 월 2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서울이동통신의 한 관계자는 『PCS와의 차별화에 실패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더이상 사업을 유지할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와관련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사업을 포기하더라도 서비스를 중단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전제, 『가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대책만 강구된다면 사업취소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혀 가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조치가 취해질 경우 사업권취소를 승인해줄 것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한국통신이 지역사업자들의 제안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사업포기에 이은 한국통신으로의 사업이양문제가 순탄하게 진행될 지는 의문이다.
시티폰사업을 포기하는 업체가 속출함에 따라 주무부처인 정통부는 시장상황과 PCS와의 경쟁관계 등을 무시한 채 사업권만 무더기로 허가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시티폰사업자 또한 서비스개시 1년도 채 안돼 수익성만 따지며 사업을 포기한 것은 이용자의 편의를 무시한 처사라는 지적을 받고있다.
정보통신사업권을 포기하는 첫번째 사례로 기록될 시티폰의 도중하차가 어떤 형태로 결판날 지가 올연말 정보통신업계의 최대 관심사가 되고 있다.<김광일 기자>김광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