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본부가 연말까지 유전자(DNA) 조작식품의 안전성 평가지침을 마련, 복지부에 이의 제정을 건의키로 한 것은 늦었지만 적절한 조치다. 유전자 조작식품이 우리 식탁에 오른 지 오래인데도 자칫 재앙을 가져올 수도 있는 이같은 식품에 대한 지침은 커녕 정부나 국민들의 관심은 엷기만 하다.한국일보 10월9일자 13면에는 런던에서 「유전공학 네트워크」 남녀 회원 5명이 유전공학을 이용한 식품을 생산하는 회사의 제품을 선전하는 한 광고회사의 지붕에 올라가 식품생산 중단을 요구하며 나체 시위하는 사진이 실렸다. 이는 선진국 국민들의 유전자 조작식품에 대한 높은 관심을 말해 주는 것이자 「DNA식품」을 맹신하지 말라는 경고이기도 하다.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세포융합 조직배양 미생물 이용 등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의한 품종개량은 식량 및 에너지 부족, 환경문제 해결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나라마다 이의 연구개발에 힘을 쏟고 있고 점차 연구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이미 유전자를 조작한 콩 옥수수 토마토 등으로 만든 식품이 우리 식탁에서 사랑을 받고 있다.
유전자 조작은 어느 의미에선 자연질서를 뒤흔드는 일이다. 이 때문에 자칫 재앙을 몰고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도 이같은 식품이나 농작물이 인체나 자연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제대로 검증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 생활 속으로 파고 들고 있다.
이미 유전공학의 위력이 입증된 상황에서 무조건의 불신도, 맹신도 금물이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본부가 유전자 조작식품이 인체에 미치는 독성과 알레르기 유발성, 환경에 미치는 영향, 사료로 사용했을 경우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 평가하겠다고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유전자 조작식품의 포장지에 조작사실의 표기를 의무화해 소비자가 구매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고 안전성이 우려되는 조작식품의 판매금지는 당연한 일이지만 이는 사후약방문격이다. 이같은 불행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노력이 선행되지 않으면 지침마련은 별 의미가 없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전자 조작식품에 대해 국민들의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한다. 우리 국민들은 유전자 조작식품에 대한 개념조차도 갖고 있지 않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대국민계몽이 지침 마련의 기본바탕이 되어야 함을 지적해 두고 싶다.
이를 위해서는 관계정보를 그때 그때 국민들에게 공개하는 투명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유전자 조작식품이 식품으로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조작 농작물의 환경 영향평가를 위해서도 이는 절대적이라고 할 것이다. 신뢰를 잃으면 아무리 연구와 조화를 이루는 대비책을 마련해도 기대하는 만큼 효과를 거둘 수 없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