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인력 단체장이 사장/선거의식 고참주사배려 속셈정부가 민선자치시대를 맞아 95년부터 선발하고 있는 지방고등고시 합격자들을 자치단체장들이 사장시키고 있다.
정부가 질 높은 공무원 선발을 통한 지방행정 경쟁력 강화와 대민 서비스 향상을 목적으로 도입한 지방고등고시 합격자(지방 5급·사무관) 절반이상이 단체장들의 외면으로 6개월째 보직을 받지 못한채 겉돌고 있다.
일선 행정관계자들은 『지방고시 출신자 보직임명 지연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재선을 노린 자치단체장들이 고참주사들을 보직하기 위한 속셈으로, 이는 지방고시제 시행 목적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하고 있다.
95년 1회 지방고시 합격자 80명은 교육과 현장경험 2년을 거쳐 4월1일부터 79개 시·군·구에서 과장급 보직을 받아야 하는데도 4일 현재 41.5%인 33명만 보직을 받았다. 특히 기술직은 16명 가운데 보직을 받은 사람은 2명 뿐이다.
자치단체별로는 5명씩이 배정된 전남 충남은 단 1명도 보직을 받지 못했으며 경남은 6명중 1명, 충북은 4명중 1명만 자리를 차지했다. 경기는 12명중 6명, 부산은 8명중 4명, 대구·인천·경북은 각각 4명중 2명으로 절반만 보직을 받았다. 그러나 광주는 4명 모두, 서울은 11명중 7명이 자리를 찾았다.
이처럼 기초단체장들이 고급인력의 보직을 미루고 있는 것은 내년 5월에 실시될 지방선거에서 지역연고 등으로 재선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고참주사들을 승진시키거나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는 도지역 기초자치단체의 보직부여율이 서울이나 광역시 보다 상대적으로 저조한데서 잘 드러난다.
95년 민선지방자치제 실시와 동시에 시행된 지방고등고시는 매년 평균 80명 내외를 내무부가 선발해 오고 있는데 행정직은 경쟁률이 70대 1에 육박하는 등 고급인력이 몰리고 있다.
「지역인재할당제」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학계는 우수한 향토인재를 공직에 유치함으로써 지방자치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기회를 단체장들이 외면하는 것은 지방화시대에 역행하는 처사라고 비난하고 있다.<정재룡 기자>정재룡>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