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쇠고기의 O―157균 검출파문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문제의 네브래스카산 쇠고기에 이상이 있다는 미국측 발표에 검역체계와 시설, 인력부족 때문에 무려 20여일 가까이 지체한 끝에 결과를 발표 해야 했고 이번엔 같은 식품에서 또 다른 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됨으로써 충격을 더해 주고 있다.이 때문에 시장, 백화점 등 유통업체에서는 쇠고기의 매출이 절반이하로 줄고 시민들 역시 O―157 불안증후군이 늘어 식단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이처럼 검사에 늑장을 부리는 바람에 상당량의 네브래스카산 쇠고기가 시중에 유출되었고 관광호텔용이라 하여 검역과정을 거치지 않은 쇠고기만 500여톤이 판매되었다니 그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내온 것만으로도 무척 다행스럽다 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문제가 된 쇠고기는 가능한대로 전량을 정밀검사해 오는 10일쯤 결과를 발표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드러난 경위와 내용만으로도 외국산 식육의 수입과정에 적잖은 허점과 문제가 있었던 것이 드러난 만큼 이제부터라도 그 보완을 위해 다각적으로 대책을 마련해 실천하는 것만이 제2의 O―157파동을 예방하는 길이다.
첫째 과제는 검역체계의 강화다. 현재 전국적으로 월평균 2,000여건의 검역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담당하는 인력은 연구원까지 포함해 모두 50여명에 불과하다. 여기에 검역기기 또한 빈약해 지방에서 이상을 발견했을 경우라도 일단 서울에 보내 본격적인 검사를 해야 하는 실정이다.
두번째 과제는 검역과 식품위생판정 등 업무의 이원화현상시정이다. 식육의 경우 보건복지부 소관인 식품의 범주에 속하는데도 살아 있는 동물과 같이 취급, 농림부 소관으로 되어 있어 감염 여부에 관해서도 보건당국은 농림부 통보를 받은 후에 비로소 행정지도에 나서는 복잡한 체제로 되어 있다. 이래서는 식육검역이 제대로 될 수가 없다.
셋째 과제는 대량수입 식품의 경우 미국 등 선진국들처럼 생산현지에서 수입 관련자가 미리 직접 검사, 확인하는 사전점검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쇠고기의 경우 국내소비량 32만톤의 절반 가까운 15만톤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그 대부분이 미국산인데 사전점검은 커녕 국내에 도착한 후 늑장표본 검역하는 지금과 같은 체제에서는 이번과 같은 사태가 언제라도 재발할 수 있다.
더구나 지난 7월부터 농축산물의 수입이 전면 자유화된 마당이어서 각종 병원균과 유해잔류물질의 유입 가능성은 더욱 커진게 현실이다. 당국은 이번에야말로 미봉책에 그치지 말고 근원적인 수입식품 검역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