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공동연구로 가해피해국 갈등해결”/유네스코 한국위·독일위,24∼25일 프레스센터서/불·독파·독 사례발표 “한·일 문제에 적용 모색”유네스코 한국위원회와 독일위원회는 24, 25일 이틀간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21세기 역사교과서 국제포럼」을 개최한다. 포럼에는 독일 프랑스 폴란드 핀란드 일본 한국 등 6개국 역사학자 18명이 참석, 2차대전 이후 가해국과 피해국 사이에 진행된 역사교과서 공동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한·일 교과서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포럼에 앞서 독일―프랑스, 독일―폴란드 공동연구 사례에 관한 발표논문을 소개한다.<편집자 주>편집자>
◇「프랑스와 독일」(위베르 티송 프랑스 역사·지리학교수연합회장)
1920년대까지만 해도 프랑스와 독일의 교과서는 서로에 대해 부정적·공격적인 서술로 일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자들 사이에 근거없는 악감정이나 잘못된 역사서술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에 따라 1935년 처음으로 파리에서 두 나라 학자들이 모여 토론했고 그 결과 1차대전의 원인을 포함해 39가지 합의·미합의 사항을 발표했다. 이 문건은 양국 교과서 집필자와 교사들에게 보내는 권고사항으로 채택됐다.
이어 50∼67년 교과서 협의가 진행됐고 81년 재개됐다. 지금은 양국 관계사 중 논란부분이 아니라 산업화와 탈산업화, 전체로서의 유럽 등 미래의 문제로 차원을 높여 공동연구를 하고 있다.
◇「폴란드와 독일」(바르샤바대 교수 겸 폴란드―독일 교과서협의회 폴란드측 의장 블로지미에르 보로지예)
폴란드와 독일(서독) 유네스코 위원회는 72년 역사교과서 공동연구에 합의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독일교과서는 폴란드에 거의 지면을 할애하지 않았고 폴란드교과서는 독일을 불구대천의 원수처럼 취급했다. 양국 교과서협의회는 프랑스―독일의 경험을 모델로 역사교육 권고사항을 채택했다. 특히 독일은 이를 30만부나 찍어 널리 보급했고 언론과 의회, 교사단체 등에서 이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됐다. 현재 양국관계는 그 어느 때보다 좋다.
◇「협력의 여건과 의미」(독일 게오르크 에케르트 연구소 라이너 리멘슈나이더 박사)
독일―프랑스, 독일―폴란드 역사교과서 공동연구는 과거의 지배국과 피지배국간의 갈등해결을 위한 노력의 훌륭한 성과이다. 독일 입장에서 공동연구는 이웃나라와의 이해의 조화, 협력의 증진이라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독일―프랑스 공동연구는 독일―폴란드 경우와는 달리 자유민주주의라고 하는 「체제내」 대화였기 때문에 비교적 어려움이 없었다. 반면 독일―폴란드 협의활동은 서로 다른 체제에 속한 「체제간」 대화로 동서냉전으로 불가능하다가 72년에야 다시 시작됐다. 두 사례의 차이는 독일―프랑스가 줄곧 민간 차원에서 진행된 반면 독일―폴란드는 70년 바르샤바조약과 72년 양국 유네스코 국내위원회의 합의에 따라 재개된 매우 정치적인 것이었다는 점이다.<이광일 기자>이광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