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20조7,179억 증가불구/실질 기업이익 제자리걸음자산재평가제도가 기업의 「거품」만을 키워 내실다지기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8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89년부터 지난달말까지 자산재평가를 실시한 기업은 모두 164개사로, 이들 기업은 재평가를 통해 총자산이 장부상가액보다 무려 20조7,179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64개 기업들은 자산재평가 이후 예외없이 자산이 늘어났고, 그 증가액은 기업당 평균 1,263억원에 이른다.
특히 최근의 부동산경기침체와 물가안정에도 불구하고 지난해부터 8월말까지의 자산재평가 차액이 33건에 7조800억원에 달해 이 기간중 자산재평가를 통한 몸집불리기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자산재평가를 실시한 기업들은 자기자본비율이 기업당 평균 23.68%에서 30.72%로 높아졌고, 부채비율은 322.34%에서 225.59%로 96.75%포인트가 낮아졌다.
외형상으로는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된 셈이다. 실제로 자산재평가를 실시해 자본잠식상태에서 탈피한 기업도 거평, 진양 등 8개사나 됐는데 특히 거평은 3년 연속 자본전액잠식으로 관리종목에 지정됐으나 93년 5월1일자로 관리종목을 벗어났다.
그러나 수치상의 재무구조개선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부가가치 창출능력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현대증권이 최근 523개 12월 결산상장법인의 올 상반기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영업이익(과세후)에서 금융비용과 연 15%정도의 자기자본에 대한 최소한의 기대수익을 제외한 실질영업이익인 경제적 부가가치(EVA·ECONOMIC VALUE ADDED)가 「플러스」인 기업은 13.5%인 71개에 불과했다. 비교대상이 똑같지는 않지만 상당수 상장기업들이 자기자본으로 은행금리 정도의 이익도 내지못한 것이다.
증권거래소 관계자는 『자산재평가는 기업의 외형을 늘려 은행차입 등의 자금조달을 원활하게하고 기업 인수·합병(M&A)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면서 『그러나 경영자의 임의적인 재평가에 따라 기업재무정보의 신뢰성을 떨어뜨려 기업경쟁력을 하락시킬 우려도 높다』고 밝혔다.
특히 세계무역기구(WTO) 출범에 따라 미국 등이 임의적인 자산재평가를 문제삼을 가능성도 높아 자산재평가제도를 폐지하고 질적으로 기업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김동영 기자>김동영>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