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재직 이양 앞당겨 대선체제 조기정착/비주류 포용 마지노선 최고위원제 제시/최악의 경우 허주·DR 3인체제로 돌파신한국당 이회창 대표가 완성한 당체제 정비의 밑그림은 자신을 중심으로 한 여권의 대선체제를 하루빨리 정착시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당초 9월말이나 10월초로 거론되던 총재직이양 시기를 추석연휴(9월14∼17일)전으로 앞당기려는 구상부터가 그렇다. 이대표는 두 아들의 병역문제로 인한 지지도 하락을 만회하고 정국 주도권을 잡기위해서는 자신을 총재로 한 일사불란한 대선체제가 조속히 갖춰져야 한다고 판단한 듯 하다. 총재직 문제에 관한한 김영삼 대통령의 거취에 관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줄곧 조심스런 자세를 취해오던 이대표가 이같은 「결단」을 내린 사실은 현 정국에 대한 그의 위기감이 얼마가 심대한 지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대표최고위원과 최고위원직을 신설하는 집단지도체제 도입도 본질적으로는 같은 맥락이다. 물론 최고위원에 이수성 이한동 고문과 김덕룡 의원 등 경선낙선후보와 서석재 의원 등 민주계 중진을 임명한다는 구상에는 당내 화합의 의미도 함축돼 있다. 하지만 이는 뒤집어보면 『다른 포용카드는 있을 수 없다』는 비주류에 대한 「최후통첩」으로 해석될 여지가 적지 않다. 실제로 이수성, 이한동 고문이 「김윤환 대표체제」를 수용할지는 양측의 경쟁관계에 비추어 속단하기 어렵다. 만약 이수성 고문 등이 이대표의 제의를 거절한다면 각자 제 갈길을 갈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게 이대표측 분위기다. 향후 거취에 가장 신경을 쓰고 있는 이인제 경기지사에 대해 이대표는 선대위원장직을 수락하도록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이대표는 자신과 김윤환 고문, 김덕룡 의원의 「3인체제」로 대선을 돌파한다는 내부 「마지노선」까지 설정해놓은 상태다.
국면전환을 위해서는 일부 비주류의 이탈 움직임에 더 이상 끌려갈 수만은 없다는 단호한 입장을 정리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이대표는 상당한 후유증을 감수해야 할지도 모르는 「승부수」를 던진 셈이다. 이대표는 이를 위해 추석전 전당대회에서 총재직을 이양받고 곧바로 당헌을 개정한 뒤 대표와 최고위원을 지명하는 속전속결의 수순을 밟는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같은 구상이 제대로 현실화할지는 좀더 두고봐야 할 것같다. 청와대 일각에서 이견이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대표는 지난 23일 김광일 청와대 정치특보와 극비 회동, 당체제정비 방안을 협의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일부 청와대관계자는 『상황이 무르익지 않았다』며 여전히 10월초 총재직 이양을 거론하고 있다.<유성식 기자>유성식>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