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울에 90개소 불과/설치·인건비 지원기준 완화로 맞벌이부부 고민 덜어줘야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가장 큰 고민은 수업이 끝난 자녀를 맡길 곳이 없다는 것. 이들을 수업후에도 돌봐주는 「방과후 교실」이 가장 바람직한 해결책이지만 그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11일 은평문화예술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방과후 어린이교실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에서는 저소득층 자녀를 주대상으로 하는 방과후 교실이 중산층 자녀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확산돼야 하며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YMCA 녹번종합사회복지관 주최로 열린 이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한 조수연(명지대학교 사회교육원) 교수에 따르면 현재 서울의 방과후교실은 종합사회복지관, 교회, 시민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90개소에 불과하다. 수용인원은 모두 1,600명. 반면 서울시가 지난해 9월 서울시내 6∼9세 초등학생 저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는 부모의 맞벌이로 방과후 보육이 반드시 필요한 인원이 7만8,000명이나 된다. 조교수는 『방과후 교실의 확대를 위해서는 현재 시설당 30명의 아동이 확보돼야 시설비와 교사인건비의 50%를 지원하는 정부의 지원기준이 완화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방과후 어린이교육의 바람직한 운영방안」에 대해 발표한 김재인(한국여성개발원) 연구원은 『현재 운용되는 방과후 교실은 프로그램과 인력의 부족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과 인성을 개발할 수 있는 특별활동은 이루어지지 못한채 아동의 보호에만 급급한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영유아보육법이 1,000시간 교육을 받은 보육교사만이 방과후 교사를 할 수 있다고 못박고 있지만 1,000시간 가운데 방과후 과정은 40시간에 불과해 영유아와는 발달과정이 다른 초등학생의 지도에 적당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차라리 방과후 과정만 150시간 이상을 받은 「방과후 교사」를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 김연구원은 또 『수업이 끝난뒤 바로 그 자리에서 방과후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초등학교를 개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교사의 업무과중과 안전사고에 따른 책임문제 등으로 학교장이 기피하는 실태』라고 꼬집는다. 이와 관련 성수열 정릉종합사회복지관장은 『피아노 수영 등 복지관내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 특활교육을 시킬 수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을 방과후 교실로 적극 활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날 서울시 가정복지과 박필숙 보육계장은 『매년 25개씩, 2001년까지 125개의 방과후 교실을 신설, 각각 시설비 3,000만원과 인건비의 50%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을 뿐 시설기준 완화에 대해서는 응답하지 않았다.<김동선 기자>김동선>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