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활어 선호·업자 방출기피 등 영향/내달 자유판매제 시행돼도 큰 기대 어려워요즘 갈치나 조기 등 생선을 사는 소비자들은 머리를 갸웃거릴만하다. 7월 수산물개방에도 불구하고 수산물가격은 별다른 변화의 조짐이 없기 때문이다.
제수용품 등으로 어차피 수산물을 구입해야하는 추석대목을 앞두고 있지만 장바구니물가로 보면 수산물은 여전히 선뜻 손이 안가는 비싼 상품에 속한다.
분명 수산물 가격을 둘러싼 환경으로 보면 가격은 하락하는게 마땅하다. 엄청난 수산물 수입과 국산 수산물 자유판매제 등 가격하락을 위한 충분한 여건들이 마련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우선 수산물개방은 수입가와 국산가격의 차가 커 가격하락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 특히 갈치 조기 민어 홍어 등 인기어종의 수입단가는 기본관세와 조정관세를 붙이더라도 국내가격의 절반이하 수준에 불과하다. 국산민어의 수협 위판가격이 ㎏당 1만6,870원이나 수입냉동 민어의 수입원가는 고작 545원에 불과해 기본관세(10%)와 조정관세(100%)를 부과하고 수입업자와 유통업자의 마진을 붙여도 반값수준이다. 수입 냉동조기역시 ㎏당 수입원가는 3,529원에 지나지않아 국산 위판가격 2만9,444원의 11.9%에 불과하다. 더구나 수입냉동조기는 조정관세없이 기본관세(10%)만 물기 때문에 유통단계에서도 국산과의 가격차이는 클 것으로 보였다.
또 9월부터 시행되는 연근해수산물 자유판매제도 중간유통단계를 줄여 소비자가격 인하에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판매제도가 실시되면 그동안 수협위판장을 통해서만 거래되던 수산물을 생산자가 어디든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수협위판장이 유통단계에서 빠지면 연간 900억원에 달하는 위판수수료의 상당부분이 중간마진에서 사라지게 되고 농산물의 입도선매처럼 대형할인점들의 산지직매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같은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또다른 문제점으로 완강하게 가격인하를 막고 있다. 수입수산물들이 소비자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데는 소비자들의 인식과 수입업자의 상혼, 관행 등이 얽혀있다.
백화점의 한 관계자는 『수산물가격이 떨어지지않는 이유는 오히려 수입 수산물을 대접해주지않는 소비자심리에 있다』고 말했다. 가격차이가 별로 나지않는다면 품질이 나은 국산을 먹겠다는 생각때문이라는 얘기다.
또 수입업자들은 당장 팔리지않는 수입수산물을 풀어놓기보다는 창고에 보관하면서 수요가 달릴 때를 기다린다고 관계자들은 밝혔다. 여기에 포장 등 과정에서 국산으로 둔갑할 가능성도 상당하다는게 업계의 지적이다. 결국 수입 수산물들은 가격인하로 연결되는 게 아니라 대부분 창고에서 잠을 자고 있는 셈이다. 또 선어를 중심으로 가격이 형성되는 관행도 주로 냉동제품들인 수입수산물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한몫한다.
업계에서는 9월부터 시행하는 자유판매제도 당분간 가격인하에는 별다른 위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형할인점 등 유통업체들이 산지 직매에 뛰어든다 해도 냉동트럭과 창고 등 장비측면에서 기존의 유통통로에 비해 단기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고 어차피 산지가 연안에 위치한 수산물의 특성상 물류비가 상당해 당장 소비자가 인하로 연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이재열 기자>이재열>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