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그룹과 정부·채권은행단의 힘겨루기 사이에 기아자동차 등에 부품을 납품해 온 1, 2, 3차협력업체 1만7,000여개의 중소기업들이 무더기 연쇄도산의 위기에 부닥쳐 있다. 기아그룹 협력업체들은 이미 10여개 1차 협력업체들이 부도를 냈고 하루하루 힘겹게 버티고 있는 다른 협력업체들도 현재와 같은 금융기관의 기아어음 할인거부 사태가 지속된다면 언제 도산 대열에 합류하게 될지 모르는 벼랑끝 상황으로 전해지고 있다.채권은행의 기아어음 할인거부와 정부의 이에 대한 동조는 기아그룹이 김선홍 회장의 경영권 포기각서와 노조의 인력감축 동의서 제출을 거부하지 않는데 대해 추가지원 요구거부 등 강경 압력조치의 일환으로 취해지고 있는 것인데 기아그룹으로서는 채권은행과 정부가 제3자 인수를 의도하고 있다고 여전히 의심, 쉽사리 「기아 죽이기」에 굴복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극적인 타결의 기미가 아직은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아그룹과 채권은행·정부가 기아자동차 뿐만 아니라 자동차업계 전체에 사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협력업체들의 생사를 담보로 하여 이성잃은 대립과 대결을 보이고 있는데 대해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모두가 목전의 자기 이익과 위신만을 생각했지 기아그룹 자체와 자동차 산업 그리고 국민경제는 고려하지 않는 것 같다. 중요한 것은 기아그룹을 경영 부실에서 구제하는 것이다. 그 바탕 위에서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강화, 국민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1만7,000여 기아그룹 협력업체들을 죽여서는 안된다.
가능하다면 고통을 덜어줘야 한다. 자동차는 3만여개의 부품으로 조립된다. 자동차 산업은 부품 협력업체가 없으면 존립할 수가 없다. 존폐는 물론 경쟁력 또한 이들에게 크게 좌우된다. 이처럼 긴요한 부품협력체 등이기 때문에 기아그룹과 채권은행·정부는 모두 더 이상 이들을 속죄양으로 만들지 말아야 한다. 특히 채권은행과 정부는 기아그룹 노사의 기아사태에 대한 접근자세에 대해 불만이 있더라도 협력업체의 자금난에 숨통을 터 주어야 한다.
정부는 『협력업체에 대해 자금지원을 일절 하지 않을 것이며 그것은 전적으로 기아그롭의 책임이다』고 했지만 국가경제를 궁극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정부로서는 합당한 조처가 아니다.
협력업체가 갖고 있는 기아그룹 발행 진성어음에 대해서는 할인할 수 있는 길을 확실히 열어 줘야 한다. 정부는 은행들이 추후에 어떠한 형태로든 그 어음에 대해서 변제받도록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채권은행과 정부는 그들이 꼭 원한다면 협력업체에 피해를 주지 않고 기아그룹에 압력을 넣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기아그룹과의 대립에서 협력업체를 「인질」로 삼지 말아야 한다. 기아그룹도 채권은행·정부가 이런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협력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