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등 후유증 억제 초점내년 1월1일을 기해 루블화를 1,000배 평가절상하는 러시아의 화폐개혁은 92년초 가격자유화 조치로 막이 오른 일련의 시장경제로의 개혁이 이제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조치가 경제 안정기조를 바탕으로 그간의 개혁 후유증을 추스르는데 초점을 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보리스 옐친 대통령도 4일 대국민연설에서 『화폐개혁에 의한 일반 국민의 손실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면서 오히려 『생활이 단순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총리는 지난달 말 확대각료회의에서 상반기 경제실적을 바탕으로 『러시아의 구조개혁은 이제 새 국면에 돌입했다』고 평가했다. 총리 보고에 따르면 이 기간에 공업생산성은 전년대비 2% 성장했으나 소비자 물가는 더욱 떨어져 한자릿수에 머물렀고 징세율은 64%로 크게 올랐다. 또 연초 달러당 5,570루블에서 거래가 시작된 루블화는 지난 6개월동안 5,782루블로 2.8%가량 오르는데 그쳐 루블화 가치도 안정을 되찾았다.
특히 화폐개혁을 과거와 같이 전격 시행하기 보다는 5개월여 유예기간을 둔 것은 보리스 넴초프 제1부총리를 중심으로 한 개혁팀이 향후 경제운용에 자신감을 갖고 있는데다 개혁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어내기위한 「다목적 포석」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러시아 경제가 어느정도 안정됐다고는 하나 아직도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개혁에 따른 국민들의 피해의식은 의외로 높아 시행에 들어가는 시점까지 어떤 형태로 이에 대응할지 예측불가능하다. 이번 조치가 러시아 국민들의 정서를 감안한 「숫자 줄이기 놀음」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그래서 설득력을 갖는다.<모스크바=이진희 특파원>모스크바=이진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