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블런케트와 클로드 알레그르. 우리에게는 다소 낯선 이름이지만 지금 영국과 프랑스에서 국민의 눈과 귀는 온통 이 두사람에게 쏠려있다. 직책은 둘 다 교육부장관. 지난 5월과 6월 ‘교육혁명’의 기치를 들고 집권한 토니 블레어 내각과 리오넬 조스팽 내각이 야심적으로 내세운 인물들이다. 이중 블런케트는 맹인이라는 치명적 약점을 극복한 도전적 삶과 인간승리의 전형으로 이미 화제를 뿌린 바 있다.두 사람이 요즘 펼쳐보이는 청사진은 자신에 차있다. 인식의 출발은 『경제 만능주의와 개인주의를 신봉해온 보수 또는 우파정권의 실정으로 교육의 질이 급격히 저하, 각종 사회병폐를 초래하고 사회정의 및 도덕관까지 무너뜨렸다』는 것. 따라서 교육예산 증액, 읽기·쓰기·셈하기 등의 기초교육 강화, 교사 대폭증원 등의 혁명적 발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컨대 교육만이 2000년대의 국가경쟁력을 보장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에 앞서 클린턴 미 대통령은 올 2월 집권2기 국정연설에서 『이제 국가안보는 무기가 아니라 교육에 달렸다』고 공언하며 『모든 미국인이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교육을 받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시쳇말로 「교육입국」을 국가전략으로 설정한 것이다.
교육에 관한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이들 나라의 국가지도자들이 집권의 새 화두로 모두 교육을 택한 것은 부럽기도 하고 어찌보면 「가진 자의 여유」같기도 해 괜히 마음이 상한다. 「교육대통령」도 많았고 위원회니 개혁조치는 외우기도 힘들 정도지만, 병들고 멍든 우리 교육현장의 주제어는 수십년동안 여전히 사교육비, 학원폭력, 촌지, 탈선 등등에 머물러있기에 더욱 그렇다.
마침 여야의 대통령후보들이 확정돼 말그대로 「용의 전쟁」 시작됐다. 이들이 앞으로 쏟아낼 말들을 생각하면 벌써부터 기가 질린다. 하지만 다른 모든 약속은 빈말이 되어도 좋으니 하나만은 확실히 하자. 교육 바로잡기가 차기정권의 처음이자 끝이 돼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며칠새 정치를 읽노라면 「우리의 미래를 기댈 곳은 교육뿐」이라는 믿음이 자꾸 수그러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