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구노력·정부 파격지원방식 점차 설득력침몰위기에 몰린 기아자동차의 회생방법과 관련, 「크라이슬러식 재기모델」이 금융권과 관계당국에서 설득력을 더해가고 있다. 천문학적 누적적자로 도산 일보직전에 놓였던 미국의 자동차메이커 크라이슬러사가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뼈를깎는 자구노력과 파격적 정부지원 때문이었다.
60년대 이래 무리한 확장과 과잉재고, 오일쇼크 등으로 78년 적자규모가 11억달러에 달했던 크라이슬러는 이해 아이아코카 회장 취임이후 대규모 감량경영을 단행, 우선 250만대이던 손익분기점을 110만대 수준으로 낮춰잡았다. 아이아코카는 이를위해 ▲자신의 연봉을 단 1달러로 묶고 ▲종업원임금도 일률적으로 10%씩 삭감한데 이어 ▲8,500여명의 종업원을 해고했고 ▲부사장 35명중 2명만 남기고 모두 그만두게 했다.
노조도 79년부터 3년간 임금인하와 생계수당포기으로 적극 동참, 임금을 GM 포드보다 시간당 2.5달러 낮추는 「저비용경영」에 성공하게 됐다.
정부도 크라이슬러의 몸부림에 힘을 실어줬다. 카터행정부는 크라이슬러가 도산할 경우 대량실업과 금융시장교란 및 자동차산업의 집중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판단, 79년 12월 크라이슬러 채무를 정부가 보증하는 안에 대한 의회승인을 받았다. 이에 따라 3차례에 걸쳐 12억달러 규모의 정부보증 크라이슬러 채권이 발행됐다.
특정기업의 도산을 정부가 막아주는 이런 「특혜」는 물론 공짜는 아니었다. 정부는 크라이슬러에 대해 스스로 또는 이해관계자들로부터 20억달러 자구노력을 이행할 것을 전제조건으로 제시했다. 그 내용은 자산처분(3억달러), 증자(5,000만달러), 채권금융단 신규융자(5억달러), 해외차입(1억5,000만달러), 지방정부지원(2억5,000만달러), 납품대금 주식변제(1억달러), 종업원 임금동결(6억5,000만달러) 등이었다. 강력한 정부지원과 자구노력을 통해 크라이슬러는 81년 17억달러에 달하던 적자를 이듬해 1억7,000만달러의 흑자로 반전시켰고 83년엔 12억달러의 채무를 7년이상 앞당겨 갚을 수 있었다.
기아자동차가 크라이슬러가 되기 위해선 그 방법은 결국 ▲노사의 자기희생 ▲정부 및 채권단의 위기인식 ▲고정관념을 깨는 정부지원 뿐이란 결론이다.<이성철 기자>이성철>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